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맵다! 덥다! 아프다! 감각, 어떻게 느끼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가한 뒤 반응을 살폈지요. 만약 A유전자를 막은 세포가 기계적 자극에 반응한다면, A유전자는 촉각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어요. 이 방식으로 피에조를 발견할 수 있었죠. 뜨거운 맛을 보여주마! TRPV1의 발견199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교 생리학과 데이비드 줄리어스 교수는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눈의 색깔이 녹색, 파란색, 회색 등으로 나타나요. 홍채의 색은 유전되기 때문에 지역이나 민족에 따라 어떤 한 가지 눈동자 색이 많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은 갈색 눈을 가지고 있죠.한쪽 눈에는 멜라닌 색소가 많고 다른 한쪽에는 색소가 매우 적다면, ... ...
- [만화 뉴스] ‘좀비’ 만드는 세균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존 인스 연구소 작물유전학부 사스키아 호겐하우트 교수팀은 9월 30일 식물에 기생하는 ‘파이토플라스마’라는 세균의 단백질이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준다고 발표했어요. 이 세균에 감염된 식물은 잎이 빗자루처럼 풍성해지고 노화가 멈췄지만, 번식 활동 또한 멈췄어요. 이로 인해 곤충은 더욱 ... ...
- [기획] 거꾸로 하늘을 나는 코뿔소?! 동물들과 함께하는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옮겨야 하는 이유는 뭘까?”입니다. 코뿔소를 다른 서식지로 옮기는 것은 코뿔소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존해서 멸종위기에 처한 그들을 지키는 필수적인 방법입니다. Q동물을 옮길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점은 무엇인가요?야생동물을 다루는 수의사들은 동물의 호흡을 가장 중요하게 ... ...
- [가상 인터뷰] 활활~! 고온이 고세균 장수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구성하는 ‘RPS23’ 단백질의 특정 부위가 다른 생물과는 다른 걸 확인했어. 리보솜은 유전자를 읽어 생명체에게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 소기관이야. 연구팀은 “고세균에게서만 보이는 리보솜의 RPS23 변이는 뜨거운 환경에서도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진화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어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두 가닥, 하나는 한 가닥?DNA VS RNA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다양한 일을 합니다. RNA는 세포소기관인 리보솜에서 단백질을 만들도록 DNA에 기록된 유전 정보를 전달하지요. 이외에도 단백질의 구성 성분인 아미노산을 운반하기도 해요. 즉 RNA는 세포 내부에서 물질 전달, 대사 조절 등 여러 역할을 한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할로윈 특집 우리 집 부엌에 귀신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질병에 관한 과학 연구죠. 예컨대 2001년 노벨상을 받은 연구는 인간에게 암을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 일부를 이스트를 통해 알아냈답니다. 도전! 섭섭박사실험왕! 이호정(hochi57)무더위 인공눈 만들기옹기종이 눈사람 가족무더위가 싹 날아가요. 실험 하나 더!후…, 후추 귀신이 도망간다? ... ...
-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미친다고 여겨져요. 전문은행을 짓기 위해 농식품부는 2년간 미생물 자원 7679주, 유전자원정보 1290건을 수집했어요. 마이크로바이옴 전문은행에는 아주 크고 차가운 냉동고가 설치될 거예요. 미생물을 섞은 용액을 영하 40°C 냉동고에서 한번 얼렸다가, 영하 80°C의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거든요 ... ...
- [기획] 내 안에 네가 살고 있어 장내미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여긴 어디, 난 누구?!알았다! 이곳은 내 장속이야.그런데 이 수많은 미생물은 도대체 누구야?내 안에서 뭘 하고 있는 거야?!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내 안에 네가 살고 있어 장내미생물Part1.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Part2.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 ...
-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항아리곰팡이에 감염된 개구리를 구하기 위해 항아리곰팡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유전 회로를 만들고 있습니다. 항아리곰팡이는 양서류 표면에 기생해 동물 피부 바깥쪽의 ‘케라틴’을 먹고 살아요. 피부호흡을 하는 양서류에게 치명적이죠. 실제로 항아리곰팡이로 인해 지난 50년간 양서류 50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