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한
화
분개
한정
유한양행
YuHan Corporation
d라이브러리
"
유한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주의 지름길 웜홀 통해 과거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보호된다 하더라도 양자중력이론은 타임머신이 있는 미시적 시공간의 역사에 대해
유한
한 확률진폭을 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양자론적인 견지에서도 물리의 법칙들이 타임머신을 자신과 함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일지 또는 거부할지를 판단하는데 많은 노력이 기울여져 왔다.물리학의 중심에 ... ...
수학은 모순을 먹고 자란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나온 것이다. 어디까지 가는 것은 인간이며 인간이 갈 수 있는 곳은 결국
유한
의 세계다.
유한
의 논리로서는 무한에 도달할 수 없다. 수학자는 이 모순을 "얼마든지 가까이 갈 수 있을 때는 같은 것으로 본다"라는 무한 논리로 극복한 것이다.집합론의 모순모처럼 아킬레스의 모순을 극복한 수학에 ... ...
수학난제 '페르마 정리'의 증명 과연 성공했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점은
유한
개밖에 없음'을 증명한 휠칭스는 위에서 말한 정리의 결과에 도달했다. 이제는
유한
개만 존재한다는 결과를 연장해서 0개만 존재한다고 증명하면 되는 것이다. 와일츠 교수는 이 마지막 단계를 증명한 것 같다.여기서는 타원함수의 이론이 응용돼 있다. 타원함수란 타원의 호의 길이를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셈이다.케언스-스미스는 점토결정체를 저급기술의 유전자에 비
유한
반면에 핵산은 고급기술의 유전자로 간주했다. 그리고 저급기술의 유전자로부터 역할을 인계받은 고급기술의 유전자가 뒤늦게 출현한 것으로 설명했다. 점토처럼 아주 흔해빠진 물질에서 핵산처럼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바로 이 현상 때문에 순간적이나마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너지=0)가 그 자체로
유한
한 에너지를 갖는 물질 상태로 바뀔 수 있는 물리적 근거를 제시해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공(眞空)의 좀더 자세한 정의란 존재(存在)와 무(無:nothing)의 사이를 요동하는 물리량인 것이다. 이런 현상을 통틀어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이야기'도 바로 무한이라는 개념 때문에 생긴 것이다.이처럼 당시 그리스인은 모든 것을
유한
의 단계에서만 생각했기 때문에 아르키메데스와 같은 무한적인 생각을 적극적으로 발전시킬 수 없었다. 그래서 적분의 생각이 미분보다 먼저 생겼지만 묻혀졌기 때문에 더 늦게 완성된 것이다.미분의 ... ...
2 유전공학 공해 핵 오염보다 무섭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심각하게 되었다. 엔트로피 법칙때문이다. 인간들은 엔트로피 개념으로부터 자원은
유한
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한번 사용된 에너지는 결코 다시 회수될 수 없는 것이다.21세기가 유전공학의 시대임은 틀림없다. 생물자원은 물질자원과는 달리 재생불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태양이 타고 ... ...
카타스트로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컴퓨터 과학 등의 이산적(離散的·모래밭처럼 수많은 점으로 이어져 있는 것) 대상에는
유한
수학이 크게 힘을 발휘한다. 자연현상은 이들의 연속적인 것과 이산적인 형성이 뒤섞이고 있다.1972년 R. 톰은 '구조 안전성과 형태 형성'을 출간하고 그 속에서 종래의 수학을 통합하는 새로운 통일적인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실제로 박 대통령은 원자폭탄에 대한 집념 때문에 사기를 자주 당했다. 미국에서
유한
한 일부 사이비 과학자들이 수백만 달러를 주면 원자폭탄을 만들어주겠다며 돈만 떼먹고 달아났기 때문이다. 이들중에는 낙하산 인사로 원자력 연구소에 들어와 고문까지 지낸 사람도 있다. "밥통도 못만드는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변환시킨 후 이를 모두 쪼개어 합해 보았다. 놀랍게도 수열로 정의된 원래 적분치는
유한
한 값으로 나왔고 그 값은 실험적으로 밝혀진 열복사선의 총합과 일치했다. 여기서 플랑크는 중요한 사실을 깨달았다. 빛과 물질간 에너지 교환은 에너지가 덩어리로 방출되고, 그리고 흡수되면서 일어난다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