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택
광
빛
광휘
잔물결
세파
차례
d라이브러리
"
윤
"(으)로 총 275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여마리를 발견한 것은 큰 수확.거제도 연안의 우점종은 아비류로 5백여 개체가 발견됐다.
윤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이 숫자는 해가 갈수록 줄어든다는 것. 아비는 가장 하등조류로 잘 날지 못하기 때문에 배로 좇아가면 물속으로 숨어버린다. 영어명이 다이버(diver). 그러나 한번 날면 높이 오래 난다고 ... ...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
유택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발명으로 성공하기 전까지는 다리 뻗고 편안히 잘 수가 없어요"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기 마련이며 양지 반대편에는 그만큼의 음지도 있다는 세상사의 이치가 ... 자신 있습니다."다시 돈을 벌면 가난하고 아이디어 좋은 발명가들의 뒤를 돌보고 싶다는
윤
씨의 간절한 다짐이었다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1천배, 인체내에서 쉽게 분해되는 체내분해성 수술용 봉합사는 약2만배에 달하는 초과이
윤
을 보장한다. 그만큼 원천기술을 가진 나라와 기술을 얻어쓰는 나라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난다는 뜻이다.80년대초와 3저호황 시기를 허송세월로 보내버린 국내 기업들은 최근 기술없는 설움을 겪고서야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납중독을 막아주고 케이블이 불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고안된
윤윤
택씨(41세)의 '통신케이블접속관'이 금상을 받았다.이밖에 김남숙씨(45세)의 실용신안제품인 '롤러스키'와 박영근씨(44세)의 '콩나물재배방법 및 그 장치'도 눈길을 끌었다.올해 우리나라 발명계를 돌아보면 어린 학생들도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과학자로 변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한 예로 아라미드펄프를 개발한
윤
한식 박사의 전공은 섬유공학. 그러나 그는 아라미드펄프개발을 계기로 공학적 이용보다는 이론규명 쪽에 더 관심을 두게 됐다고 밝힌다. 현재 기술적인 장애로 아라미드펄프의 상품화는 더뎌지고 있지만 그의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
윤
이론'(현재 국제 섬유학계에서는 아라미드펄프 생성에 관한
윤
박사의 이론을 '
윤
이론'(Yoon's theory)으로 부르고 있다)에 대해 주제발표할 예정이다.3타석 1안타80년대 들어 새로운 연구개발 과제를 잇따라 발표해 화제를 가장 많이 모았던 사람이 김영길 교수(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과)다. 그는 84년 ... ...
「기술대국」 일본을 추월하려면 컴퓨터문맹 퇴치가 시발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카메라 자동차 컴퓨터 등 단품생산에는 세계최고인 일본도 소프트웨어 기술에는 허약하다. 우리나라는 하드웨어 중심의 일본식 발상을 벗어나야…'통신올림픽'이란 표현대로 현대 올림픽은 고도의 텔레비전 방송기술과 전산기술이 총동원된다. 이런 면에서 올해 북경 아시안게임과 92년도 바르셀 ... ...
파충류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겉모양과 습성은 양서류와 비슷하고 형태는 조류와 닮은 냉혈동물파충류(爬蟲類)는 동물분류학상 척추동물의 하나다. 여기에는 대개 뱀류 악어류 도마뱀류 거북류 등이 포함된다. 겉모양이나 습성은 양서류와 많이 닮아있지만 형태는 조류에 가깝기 때문에 조류와 파충류는 공통의 조상에서 갈라 ... ...
공부하는 방법이 문제예요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시작했어요. 무엇보다 수업시간에 충실히 듣고, 교과서를 활용해 다졌지요. 특히 국민
윤
리와 국사는 교과서의 정독이 중요해요. 괄호채우기 문제를 대비하기에도 안성맞춤이죠. 교과서에서 말만 조금 바꿔 출제되거든요.지리는 사회나 세계사보다 외울 게 적을 것 같아 선택했어요. 역시 문제집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그 상태가 심각한 실정이다. 국내에 태양물리 전공학자가
윤
홍식 김갑성교수외 10사람 이내라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 크다. 또 변변한 태양관측장비나 연구도 태부족한 상태이다. 35억년간 지구를, 그리고 한반도를 지켜준 태양을 너무 푸대접하는 느낌이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