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전
움직임
이사
운동
양도
전위
전임
d라이브러리
"
이동
"(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서로 다른 두 우주 공간을 연결하는 터널 형태의 공간이다. 우주선이 웜홀을 타고
이동
하면 아주 먼 우주도 빠르게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웜홀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제기된 가상의 개념으로 아직 실존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웜홀의 실존 증거가 ... ...
[과학뉴스] 똑딱핀 같은 날개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소프트로봇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이로써 이전에 추진체 없이 가장 빠르게 수영한 로봇의 속도(1초에 몸길이 0.78배 거리
이동
)보다 4.8배 빠른 속도를 갖게 됐다. 정확한 속도는 1초당 85.27mm다. 연구팀은 지느러미 사이의 몸체를 둘로 나눠 좌우 회전이 용이한 나비봇도 개발했다. 인 지에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교수는 “나비봇에 ... ...
[특집] 순간
이동
이 당연해진 세상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둔코프 박사는 순간
이동
에 ‘반’만 성공한다. 배터리 충전을 깜빡 잊는 바람에 순간
이동
장치가 머리를 전송한 다음 방전돼버린 것이다. 머리만 남은 그는 결국 박물관에 전시되고 만다. '워세권’의 탄생➡ 남대식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부동산 문제가 사라지진 않을 겁니다. 지금 ... ...
[인포그래픽] 양자전송과 양자암호통신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해킹하기란 불가능하단 의미에서 붙었다. 양자상태를 보내는 양자전송은 흔히 ‘양자의 순간
이동
’이라고도 불린다. 양자가 뭐길래 이런 거창한 별명이 붙는 것인지 그 원리를 뜯어봤다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
이동
을 할순없더라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빛의 속도로 매우 빠르게 전달할 수 있고, 광섬유를 이용하면 매우 적은 손실로 원거리를
이동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광섬유를 통해 보낸 광자가 광손실 탓에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약 100km의 광섬유를 통과하면 광자 100개 중 99개는 광손실로 사라지는 수준이다. 고전 광통신에서는 광섬유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탄성 한계를 넘어선 변형이 무엇인가’라는 정의에 주목했다. 전위가 발생해서
이동
한 원자가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는 변형이 탄성 한계를 넘어선 변형이라면, 힘을 받아도 전위가 생성되지 않는 금속을 만들면 된다! 2003년 일본의 자동차회사 도요타의 사이토 타카시 연구원팀은 그동안 1%를 ... ...
[도전 M! 체스마스터] 킹과 룩의 전략적인 움직임! 캐슬링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있는 킹을옆으로2칸움직이고,킹이움직인방향의룩은킹을건너뛰어서킹바로옆칸으로
이동
해요. 룩이 h열에서 f열로 가는 캐슬링을 ‘킹사이드 캐슬링’, 룩이 a열에서 d열로 가는 캐슬링을 ‘퀸사이드 캐슬링’이라고 해요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
이동
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아침에 눈을 뜬 당신, 기분이 묘하게 상쾌하다. 창밖에선 새 소리가 들리고 왠지 방이 밝다. 앗차, 늦잠을 잤나 보다. “순간
이동
이라도 하고 싶다” ... 순간
이동
이 가능해진 세상을 머릿속에 그려보게 된 독자라면 43p에 소개된 ‘당신의 순간
이동
을 SF에 담아주세요’ 이벤트에 참여해보자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주를 헤엄치는 해파리의 정체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시작한 은하의 암흑물질은 가스 물질과 마찬가지로 별 원반에 살짝 어긋난 방향으로
이동
한다. 어긋난 암흑물질은 가지고 있는 중력을 이용해 별 원반의 중심부를 끌어당긴다. 그 결과 은하의 별 원반은 가장자리는 그대로 있고 중심부만 살짝 움푹하게 끌려 들어간 바가지 같은 모양으로 휘어진다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인도주의적 위기가 닥칠 수도 있다. 나아가 늘어난 인구가 음식을 먹고 차를 타고
이동
하면 앞으로 온실 가스를 더 많이 배출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아프리카의 출산율을 억제하는 것이 정답일까?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해왔다. 조은주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20세기 중반 세계 인구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