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d라이브러리
"
인공적임
"(으)로 총 7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 입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의 비중이 커지고 문제 유형 또한 바뀌고 있다. 출제가능성이 높은 예상문제를 풀어보면서 실전감각을 길러두자. 미래탐구(www.mirae-academy.co.kr)는 영역별 강사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수능과 논구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화된 TFT를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두통이 있거나 열이 날 때 먹는 아스피린은 1899년 독일의 바이엘사가 인공적으로 합성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1982년 영국 과학자 존 베인이 아스피린의 원리를 밝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기 전까지 아스피린이 어떻게 통증을 없애고 열을 내리는지 알려진 사실이 없었다. 대부분 새로운 약물은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MSG, 합성착색료, 합성보존료를 쓰지 않는 ‘3無첨가’ 원칙을 계속 지켜오고 있습니다.”지난 1988년 연구소가 설립된 이래 20년째 안전한 먹을거리를 개발하는데 노력하고 있는 풀무원기술연구소를 찾았다. 기자를 맞이한 김태석 박사는 연구소와 나란히 있는 풀무원식품안전센터 센터장을 맡고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화학구조식과 밀도, 녹는점, 끓는점이 완벽하게 같지만 편광된 빛을 조사했을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물질을 광학이성질체라고 부른다. 19세기 말 프랑스 화학자 파스퇴르는 포도주에서 쓴맛을 내는 성분을 조사하다가 타르타르산 결정 중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이 곳은 자칭 천재 발명가 몬만드러 박사의 연구실. 지금 몬만드러 박사는 세상을 크게 바꾸어 놓을 발명품을 만들고 있다고 한다. 어떤 발명인지 궁금하지 않은가? 잠시만 기다리시라. 곧 깜짝 놀랄 만….“펑! 와르르~.”아니 이게 무슨 소리지? 그 순간 청천벽력같은 소리가 울려 퍼진다.“아이구~ ... ...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평지에서 자전거와 자동차가 겨루면 자전거가 이길 수 있다!?’ 거짓말이 아니다. 실제로 평지에서 자전거의 최고 속도는 시속 130km에 달한다. 자동차가 고속도로를 달리는 속도와 맞먹는 셈. 일명 ‘누워서 타는 자전거’라 불리는 리컴번트는 일반 자전거보다 속도가 빠르기로 유명하다. 국가핵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지구에서 가장 무서운 질병은 뭘까. 많은 사람들이 에이즈를 떠올리겠지만 사실 에이즈에 걸려 사망한 환자보다 슈퍼박테리아에 걸려 사망한 환자가 더 많다. 미국 국립질병통제예방센터가 지난해 10월 ‘미국의학협회’ 저널에 게재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2005년 한 해에만 메티실린 내성 포 ... ...
유기농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 내추럴리 데인저러스 | 제임스 콜만 지음ㅣ윤영삼 옮김ㅣ다산초당ㅣ290쪽ㅣ1만 3000원PROLOGUE‘자연’ 또는 ‘천연’이라는 말이 반드시 안전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또한 아무리 건강에 좋은 것이라 해도 지나치면 해로울 수 있습니다. 어떤 물질이 몸에 좋다고 소문이 나더라도 맹목적으 ... ...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여름철 연못 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금쟁이. 이 소금쟁이는 물 위에서 피겨스케이트 선수처럼 유유히 미끄러지듯 다니면서 일생을 보낸다. 소금쟁이는 세 쌍의 기다란 다리를 지니고 있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다리의 끝부분만 살짝 물에 닿은 채 물에 가라앉지 않고 몸무게를 지탱하고 있다.지름 ... ...
산소 같은 학문, 수학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누군가에게는 수학이 수‘악’의 기억으로 남아있으리라. ‘악’ 소리가 날 만큼 어려운 수학을 도대체 어디에 써먹겠다는 건지. 그런데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조용승 소장은 “잘 모르는 소리”란다. 약방의 감초처럼, 수학이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고.하긴, 과학수사대의 범죄 수사를 다루는 미국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