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eople] 원주율 신기록에 도전하는 사람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기사를 보려면?Intro. [People] 원주율 신기록에 도전하는 사람들Part1.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 (이와오 엠마 하루카)Part2. 62조까지 원주율 계산한 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팀Part3. 별별 원주율 기네스 세계 기록Part4. 수학을 악보에 그리는 사람들Part5. 썬더 드래곤 & ... ...
- [People] 62조까지 원주율 계산한 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2π×1013에 해당하는 62,831,853,071,796자리까지 계산하자고 제안했어요. 컴퓨터는 필요한 자리까지 계산을 마치자마자 제때 멈춘 거지요. Q. 구글이 원주율 세계 신기록을 깼는데 다시 신기록을 되찾아올 계획이 있나요?우리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연구 프로젝트에 필요한 성능을 ... ...
- 수학을 좋아하고 싶어 수학 노래 만들었어요! 썬더 드래곤 & 상상이상이상길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파평초등학교 선생님이 짜주셨답니다. ❷스피드업챌린지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15번째 자리(3.141592653589793)까지 숫자를 순서에 맞게 손가락으로 나타내면 됩니다. 처음엔 느리게 한번, 다음엔 빠르게 한번 진행되는 박자에 맞춰 챌린지 영상을 찍어 SNS에 올려주세요! 손가락 모양은 시범 영상을 ...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한편에서 중장비 몇 대가 둔탁한 철 소리를 내며 움직이고 있었다. 대형 교회가 있던 자리였는데 어느새 철거돼 버리고 희뿌연 콘크리트 조각들만 널부러져 있었다. 교회의 첨탑이 잔해들 사이에서 나뒹굴고 있었지만, 설진은 그것에서 별다른 감정을 느끼지 못했다. 태생부터 무교로 살아온 그에게, ... ...
- [전지적 독자 위원회] 1기 전지적 독자위원회가 남긴 ‘다채로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따스한 애정과 열정 덕분에 편집부는 더 풍성한 과월호를 만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함께해 주신 전독위 1기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3월부터는 전독위 2기가 활동을 시작합니다. 앞으로의 6개월도 전독위 2기와 다채로운 과학동아를 만들어갈 것을 과학동아 독자들께 ... ...
- 별별 원주율 기네스 세계 기록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몇 주나 몇 달 정도 연습하면 다시 외울 수 있을 것 같아요. 앞으로 시간이 된다면 십만 자리까지 도전해보고 싶어요. Q. 당신의 도전을 응원하겠습니다. 끝으로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해주세요!다른 사람이 당신에게 어떤 말을 하든, 자신의 재능에 따라 꿈을 좇길 바랍니다 ... ...
- [Career Math] 프로N잡러, 서동주의 갓생 사는 비결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노력했어요. 봉사할 게 있는지, 하다못해 작은 책자 돌리는 거라도 할 수 있는지를요. 그 자리에 있을 이유가 있으니까 마음이 편해졌어요.또 인간을 탐구한다고 생각하면 사람들과 만나는 시간이 즐거워지더라고요. 호기심이 많은 제 성향에 잘 맞아요 ... ...
- [Space Math] 몰랐던 지구 정보 밝힌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센서를 만들기는 어렵지만, 파장이 다른 전자기파로 세상을 본다는 면에서는 둘 다 한 자리씩을 차지하고 있다. 루미르의 핵심 기술 초분광 카메라를 탑재한 초소형 위성은 가시광선뿐 아니라 적외선 영역의 256개 파장 대역을 측정해 조사하려는 대상의 고유한 특성을 알아낸다. 예를 들어 위성이 ... ...
- [에디터 노트] 동행의 부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과학동아 독자는 아무나 방문할 수 없는 현장을 누볐습니다. 얼어붙은 땅에 자리한 남극기지를 간 적도 있고, 뜨거운 적도 바다 근처의 해양과학기지를 간 적도 있습니다. 아마 과학동아 장기 독자라면 기억하실 겁니다. 그러던 동행이 코로나19를 만나 뚝 끊겼습니다. 기자들도 가급적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말을 굳이 내세우지 않더라도, 이휘소의 업적은 세계 과학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의 업적에 그 자체로 관심을 갖고 그 의미를 파악하려는 노력을 할 때, 우리는 과학자 이휘소를 비로소 온전히 이해하고, 그를 제대로 존경하고 흠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김태호 전북대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