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유망
우수
현저함
인기
영광
고명
d라이브러리
"
저명
"(으)로 총 46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영국의
저명
한 이론물리학자인 폴 디랙은 물리학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묻는 태도에 대해 늘 회의적이었다. 물리학자는 엄밀한 수식을 통해 자연의 법칙을 드러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디랙이야말로 물리학에서 최대의 철학적 난제 중 하나를 던진 장본인이다. 디랙은 ... ...
구글, MSN 서치에 선두 빼앗길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밝혔다.이들은 MSN 서치의 검색 기능이 구글과 필적할 만 하다고 평가했다. 또 미국의
저명
한 검색 엔진 마케팅 사이트인 ‘서치엔진워치’(Search EngineWatch)의 크리스 셔먼은 “구글이 최고라는 생각은 이제 개념적인 것에 가깝다”고 말했다.지금까지 구글의 ‘비밀병기’는 고도의 링크 분석이었다.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비밀을 살펴보자. 초신성 폭발의 장관 중계 찬드라 망원경의 이름은 인도 태생의
저명
한 천체물리학자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Subrahmanyan Chandrasekhar)를 기념해서 명명됐다. 찬드라세카르는 별의 구조와 진화를 밝힌 업적으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영국의 천문학자 마틴 리즈는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에너지 소비도 따라 늘어날 수 밖에 없다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그러나 독일의
저명
한 환경언론인 프란츠 알트는 지난해 국제포럼에서 “2050년에는 전체 에너지 소비 중 태양이 40%, 바이오매스가 30%, 풍력 15%, 수력이 10%를 차지하며 석유는 5%뿐”이라고 전망했다. 세계적인 석유회사 쉘도 현재 2%인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781년 그린 인도·중국 지도에서 동해는 ‘동해’ 또는 ‘한국해’라고 표기돼 있다. 당시
저명
한 지리학자였던 드릴의 권위와 영향력을 감안하면 이 지도는 동해 표기에 중요한 자료일 것이다.고지도 7개중 6개는 동해 표시나는 지리를 좋아해서 무슨 지도를 보든 한국이 어떻게 표현됐는지 궁금하게 ... ...
탄소나노튜브 속에는 온도가 없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탄소나노튜브에서는 온도가 의미를 잃어버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8월 17일자 ‘네이처’ 온라인 뉴스가 보도했다.영국 서레이대 오 ... 전자소자로 쓰일 때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이번 연구결과는
저명
한 물리학 저널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 실릴 예정이다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결과라는 설도 있다.덴마크의 코펜하겐근육연구센터를 이끌고 있는 스웨덴 출신의
저명
한 스포츠생리학자 벵트 살틴 박사는 1990년대 이를 밝히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10여년간의 연구결과 위의 주장 대부분은 근거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신 케냐인의 경우 같은 양의 산소를 소모했을 경우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최근
저명
한 이론 물리학자인 영국 케임브리지대 스티븐 호킹 교수가 30년간 견지해온 자신의 이론을 철회했다. 과연 무엇이 그로 하여금 이런 결단을 내리게 했을까. 그리고 왜 과학자들은 그의 새로운 이론에 그렇게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일까.1975년 호킹은 현대물리학의 양대 산맥인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encyclopedia’ (백과사전) 두 단어의 합성어로 ‘지구촌 지식집합체’ 라는 뜻을 갖는다.
저명
한 과학비평가 피에르 레비가 처음 주장한 이 용어는 ‘이상적인 정보원’ 이란 뜻에서 출발했다. 태초 이래 인류가 창출한 모든 지식을 하나로 묶어주고, 어디서나 편리하게 활용하며 새로운 지식을 ... ...
한반도에서 몸길이 6cm 아열대 곤충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슴하늘소임을 확인받았다. 두 사람은 이번 발견에 대해 공동논문을 작성, 현재 영국의
저명
한 곤충학 학술지인 ‘엔터말러지스츠 먼슬리 매거진’ (Entomologist's Monthly Magazine)에 투고한 상태다.이 교수는 “채집한 두 마리 가운데 큰 것은 몸길이 6.2cm에 몸통너비가 2cm에 이른다”며 “온대지역에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