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반"(으)로 총 1,10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교수는 현재 ‘포스트휴먼 사이언스’라는 총서를 준비 중이다. 포스트휴먼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개괄을 다룬 제1권과,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기술, 법률, 철학을 총망라한 제2권을 올해 가을에 동시 발간할 예정이다. “뜻있는 사람들이 토론한 내용을 시민사회가 공유하기를 바랍니다. 기술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것들이었다.예측 결과들을 실제 독성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컴퓨터를 이용한 예측이 전반적으로 세포실험보다 예측력이 높았다. 또 세포실험 결과와 컴퓨터 예측 결과를 비교했을 때는 90% 안팎의 일치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세포실험 결과와 컴퓨터 구조 분석을 함께 적용하면 예측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반면 파푸아뉴기니,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는 1인당 배출량이 7kg도 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소득 수준이 높은 나라가 가난한 나라보다 질소 배출량이 10배 이상 많았다. 논문의 제1저자인 아루니마 말릭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소득 수준이 높은 나라에서 육류와 고도의 가공식품,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분야에 ‘재현성 논쟁’이 뜨겁다. 과학 전반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로 결코 쉽게 볼 일이 아니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특히 통계 기법의 허점을 악용한 부적격 연구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문제를 2회에 걸쳐 전문가의 칼럼으로 짚어본다. 이번 화에서는 영가설 검정의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줄임말이다. 생물학연구정보센터는 생물학, 농림수산식품학, 의생명학 등 생명과학분야 전반의 연구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포스텍(포항공대) 소속 기관이다. 1995년 한국과학재단이 과학의 12개 분야에서 연구정보센터를 선정해 지원했는데, 이 중 하나로 뽑혀 그해 10월 설립됐다(초대 센터장 ...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광학기계 회사도 발전했고요. 주민들도 대부분 연구원이나 학생이어서 도시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젊고 자유롭다고 합니다. 광학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이 잘 꾸며져 있다고 하니, 자전거를 타고 연구소와 함께 쓱한번 둘러보길 바랍니다. 여행에 식도락이 빠질 수 없겠죠. 아쉽게도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분야에 ‘재현성 논쟁’이 뜨겁다. 과학 전반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로, 쉽게 볼 수 없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특히 통계 기법의 허점을 악용한 부적격 연구가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2회에 걸쳐 전문가의 칼럼으로 짚어본다. 첫 회는 논쟁의 핵심인 유의확률(p ... ...
- [과학뉴스] 답답하면 너도 큰 뇌를 가져보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20분 만에 성공했다. 가장 많은 개체가 성공한 종은 개체의 70%가 성공한 곰이었다.전반적으로 몸집이 큰 동물보다 작은 동물이 상자를 잘 열었지만 너구리과 동물인 라쿤과 미어캣은 상자를 열지 못했다. 하이에나 종도 15%밖에 성공하지 못했다. 벤슨-앰럼 교수는 논문에서 “곰처럼 몸집에 비해 뇌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아니라) 개체의 번식 성공도를 높여줌을 수학적으로 입증했다. 이상하게도, 20세기 전반의 생물학자들은 이러한 이론적 성취에 그냥 철저히 무관심했다. 이들은 엄밀한 고려 없이 집단 선택과 개체 선택을 마구 섞어 썼다. 대충 봐서 어떤 형질이 집단에 이로웠겠다 싶으면 집단 선택으로, 개체에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정도로 만연해 있다. 뎅기뿐 아니라 치쿤구니야, 웨스트나일 같은 플라비바이러스가 전반적으로 아프리카보다 중남미에 많다. 그만큼 항체가 교차반응할 가능성도 높다는 뜻이다. 지카가 중남미에서 폭발적으로 퍼진 이유로 돌연변이를 꼽는 과학자도 있다. 작년 11월 25일,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