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필요한 인재를 선발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는 거지요. 이제 수능은 변해야 합니다. 점수 중심의 시험이 아닌 능력 중심의 시험이 돼야 하며,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는 말 그대로 대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배움의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 있었지요. 연구해보니 저와 수학이 더 잘 맞는다고 느껴졌어요. 공부는 시험을 채점하고 등수를 매기니까 스트레스를 받았는데, 연구는 저만이 할 수 있는 걸 한다는 생각에 마음이 편하고 훨씬 재밌었어요. 물론 공부는 정해진 걸 하면 돼서 쉽지만, 연구는 심해를 유영하는 느낌이라 막막하고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10억분의 1m) 이하인 가장 작은 크기의 큐비트를 이용해 양자집적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큐비트 플랫폼과 차별화된다. 연구를 이끈 하인리히 연구단장은 “큐비트 플랫폼 중 초전도와 위상물질을 활용한 방식은 이미 해외에서 충분히 연구가 이뤄졌다”며 “단일 원자 전자스핀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분류한다. 이 척도는 ‘변이 장내에 오래 머무를수록 수분을 잃고 단단해진다’는 점을 이용해 대변을 일곱 가지로 분류한다. 해당 분류를 통해 대변의 형태만 알아도 변기 사용자가 변비인지, 심각한 장 질환을 앓고 있는지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스마트 변기가 대변의 형태를 학습하면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영어’였던 적이 꽤 자주 있다”고 경험을 이야기했다. 비용 문제가 만만치 않다는 점도 지적했다. 오 씨는 “논문 수정을 교정 사이트에 맡기면 교정의 수준(일반적인 교정, 과학적 교정 등)이나 교정 기간(2~7일)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라며 “(논문 한 편당) 최대 60만원까지 지출한 적이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AI가 식물조차도 효율적으로 잘 키운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구의 많은 온실들은 점차 AI가 도맡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변모했다. 화성에 설치된 유리 온실도 환경 제어는 모두 AI가 맡는다. 화성에서 얻은 재료로 만든 유리 온실을 AI가 운영하는 미래지향적인 광경을 볼 때마다 내심 감탄하곤 ... ...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 위암은 암 유형 중 치료가 어려운 미만형(diffuse type)에 속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위점막 아래에 넓게 퍼져서 발병하는 탓에 징후가 없고 다른 부위로 전이되기 쉬우며, 내시경으로 진단이 어렵습니다. 조기발병위암의 원인은 그간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이 논문은 유전체학, 전사체학, 단백체학을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모기들은 붉은색, 검은색, 청록색 점을 향해 날아갔습니다. 반면 녹색, 파란색, 보라색 점 쪽으로는 날아가지 않았어요. 제프리 리펠 교수는 “피부색과 상관없이 사람의 피부에서는 붉은색 계열의 파장이 나온다”며 “모기는 숨을 쉴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의 냄새로 우리의 위치를 파악하고, ... ...
- 주스,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바라보다가 목성 옆에서 희미한 점들을 처음 발견했어요. 목성을 공전하는 위성들을 최초로 관측한 거예요. 당시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론에 따라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된다는 세계관을 뒤집는 발견이었습니다. 주스는 갈릴레이 위성 중 유로파, ... ...
- [Reportage] 영재학교판 두뇌 서바이벌 게임,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각자의 역할을 분배하는 역할을 해야 했어요. 1학년이 12명으로 워낙 많다 보니 어려운 점도 있었지만 행사를 운영하면서 리더십을 키울 수 있었지요. 또 저는 수학의 대중화에 관심이 많아요. 그래서 이번 행사처럼 수학을 게임화하면 수학을 평소에 어려워하는 친구들에게도 수학이 하나의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