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찰흙
진흙
도토
플라스티신
유토
흙
토양
d라이브러리
"
점토
"(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미 최남단, 「비글해협」을 지나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빙퇴석(氷堆石)을 이룬다. 이 빙퇴석을 이루는 입자의 크기는 큰 바위에서 자갈 모래
점토
까지 크기가 다른 입자와 뒤섞여 결과적으로는 분급(分級)이 대단히 불량하다. 함수율이 높고 따라서 나무나 풀 등의 식물생장에 좋은 조건을 갖추었다고 생각된다. 실제 관찰된 빙하들의 말단에는 해면과 ... ...
흙건축을 되살려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유기질이 없는 흙을 물병에 담아 흔들어 휴식시킨 뒤 굵은입자(모래질)는 가라앉고
점토
질은 상부로 침전되는 단면을 통하여 분포를 계산하면 대략적인 구성비를 알아낼 수 있다. 흙을 손으로 쥐어서 손자국과 함께 형체가 유지되는 정도이면 수분함유량이 적절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 ...
생활속에 파고드는 바이오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속은 익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이 즐겨 사용하던 뚝배기도 마찬가지.
점토
로 만들어진 뚝배기는 열을 흡수해 원적외선을 지속적으로 방사시켜 음식맛을 돋구는 역할을 한다.이러한 예는 얼마든지 있다. 요즘은 한약을 달일 때 전기약탕기를 사용하지만, 얼마전까지만 해도 ... ...
인체속에서 놀라운 역할을 하는 원소 미량금속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증상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그들은 아연섭취량도 적지만 아연이 흡수되기 어렵게하는
점토
를 먹는 습관이 있어 아연결핍이 될수 밖에 없었다.성에 깊이 관련되어있는 미량금속아연은 성장뿐만 아니라 성(性)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사람의 몸 속에서 가장 아연이 많은 곳은 어디일까. 함유율이 높은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바로 다이아몬드의 모암(母岩)이었던 것. 지표에 노출된 이 암석은 풍화되어 뻘건
점토
층을 이루었으며 다이아몬드의 결정 알맹이는 그대로 남아 있었다. 사람들은 이 뻘건 진흙을 물에 걸러서 다이아몬드를 건져냈다. 한때 이 지역의 닭똥이 엄청난 값으로 팔렸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것은 닭의 ... ...
제염작업이 성패를 좌우 서해안 간척지의 쌀농사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간척지의 토양을 기름지게 하는 방법도 많이 쓰이고 있다. 제오라이트는 일종의 순
점토
로서 염기의 치환용량이 커 간척지의 토양개선에 유용하다. 우리나라의 경상도 지역에는 제오라이트가 집적된 땅이 있어 부대에 넣어 팔고 있다.석고(CaSO₄)를 사용하면 흙에 붙어 있던 염류가 황산기와 결합,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그리고 규산은 물맛을 좋게하는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래서 실리카층이나
점토
층을 지나온 물은 참으로 맛이좋다. 반대로 물맛을 나쁘게하는것은 마그네슘 황산이온 염소등이다. 염소는 수도물 살균용으로 인공으로 넣기도 하는데 잘 쓰지않으면 좋지않다. 마그네슘도 쓴맛의 성분으로 ... ...
검사 분석 보존의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수가 있다. 도자기등의 시대를 추정하는데는 열광법(熱光法)이 쓰이고 있는데, 그 원리는
점토
를 구울 때의 빛처럼 광물질의 처음 가열 때 나오는 빛의 측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 방법은 도자기나 조각 등의 구워진 시대 추정은 물론 고대 미술품의 복제, 위조 여부까지 알게 해준다. 금속제의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쟁기는 청동기 시대 이후 경제적 의미가 가장 높았던 농기구였다. 더우기 생산성이 높은
점토
질 토지가 집약적인 곡물생산을 위해서 개간되기 시작했을 때, 쟁기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이러한 과정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은 기원 후의 일이었다. 쟁기의 발달사 쟁기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해수의 침입으로 내륙의 분지에서 만(灣)으로 바뀌게 되었고, 이때 미세한 입자의 실트질
점토
가 퇴적, 굴 바지락 등 내만의 연체동물이 서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김해일대의 구릉 사면에 산재하는 패총이 이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후빙기의 최성기 이후 해수면의 안정으로 낙동강의 하구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