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잉 737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일각에서는 보잉과 함께 민항기 양대산맥을 이루는 에어버스가 전기신호로 비행을 제어하는 ‘플라이 바이 와이어(FBW)’ 방식을 더 적극적으로 도입했다고 차별화하던데, 글쎄요. 다행히 에어버스는 그동안 큰 사고가 없었지만, 취재를 하면서 만난 전문가들은 그 어떤 비행기 설계도 완벽할 수는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모터의 개수가 많아져 다리가 무거워지고 제어도 복잡해지는 만큼 일단 최소 숫자인 6으로 결정해봅시다. 사실 로봇 중에는 자유도 5로 만들어지는 작은 로봇들도 있습니다. 이 로봇들은 걸음걸이가 상당히 제한돼 아주 부자연스럽게 걸을 수밖에 없습니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대 방향으로 연료를 뿜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딴지를 걸자면 소화기로 추진력을 얻어 움직일 순 있지만, 소화기의 분사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영화처럼 빙글빙글 돌면서 정확한 위치에 다가가는 건 거의 불가능해요. 그렇다면 소화기로 추진력을 얻는 건 어떻게 가능할까요? 하늘로 솟아오르는 로켓을 생각하면 쉬워요. ...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특정 유전체 내부에서 공명이 일어날 수 있도록 만들면 플라스마가 생성되고, 이를 제어하면 지름이 수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나노 광원 소스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광원을 이용해 모든 방향에서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안테나와 초고해상도 나노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는 데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보고돼왔다. 수중에 있는 물질(산란체)이 물보다 음향의 전달속도가 느려야만 굴절률 제어가 가능하다는 ‘느린 물질 가설’ 때문이었다. 이 가설대로라면 물속에 공기처럼 소리 전달속도가 느린 물질을 배치해 음파를 산란시켜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참고로 물 속 음파의 속도는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고해상도 신호 처리뇌파를 추출한 뒤 이를 통해 로봇 의수나 컴퓨터 등 외부 기계를 제어하는 기술을 ‘뇌-기계 접속(BMI·Brain Machine Interface)’이라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연구팀은 2012년 바늘 96개로 구성된 신경전극을 사지마비 환자의 뇌에 심은 뒤 이를 로봇 의수와 연결해 커피를 마시게 하는 데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수정란에서 분리한 줄기세포를 배양하면 갑자기 암으로 변해버리는 등 제어하기가 극도로 어렵다”고 설명했다. 영화에서처럼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이를 다시 성인으로 온전히 성장시키는 체외배양시스템은 아직은 없다는 말이다. 기억 따라 감정도 전송, 가능할까기억과 감정이 동시에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자율복원 기술은 무인열차 외에도 실시간 통신으로 제어가 필요한 자율주행자동차와 드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박 교수는 “각 기술의 운영 방식이 다른 만큼 자율복원 기술도 다르게 설계돼야 한다”며 “앞으로 운송 트럭 여러 대가 무인으로 운행되는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다. 특정 조건에서 생분해되는 원료로 의료용 나노로봇을 만들어 제어하면 향후 약물을 전달하는 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안 교수팀은 집속이온빔을 이용해 근육의 가장 작은 단위인 근원섬유(Myofibril)를 수백nm 크기의 구조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안 교수는 “현재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것으로 보고 있다. 윤 센터장은 “플라스마가 가열되다가 식는 순간이 있는데, 이를 제어해 5~6초 지속할 수 있다면 이온온도 1억 도를 10초까지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세계 최초로 10초 이상 유지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올해 추가로 도입하는 중성입자빔가열장치(NBI)-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