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기"(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때문에, 광합성을 많이 할수록 맛있고 큰 토마토를 얻을 수 있지요. 교수팀은 MEMS를 줄기의 물관에 꽂아 물관을 지나는 비료와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해요. 비료는 전기를 띠기 때문에 MEMS가 측정하는 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비료가 많다는 의미예요. 또MEMS는 열을 발생시킨 뒤 열이 식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줄기의 마디가 소 무릎을 닮은 쇠무릎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풀로 가득한 시골길이나 등산로를 걷다가 벼의 껍질처럼 생긴 것이 바지에 가득 달라붙은 경험이 있나요? 그건 어쩌면 오늘 소개할 ‘쇠무릎’의 열매일지도 몰라요. ... 시작하는 시기랍니다. 쇠무릎은 습한 곳을 좋아하니, 그늘진 곳에 가면 쇠무릎을 찾아 줄기의 마디를 확인해 보세요 ... ...
- 바닷가 식물에 숨겨진 탄소 저장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영양분으로 만드는 과정을 ‘탄소 고정’이라고 해요. 뿌리부터 줄기까지, 식물의 몸 대부분은 공기 중에서 온 탄소 원자로 구성되어 있어요.해안가에는 맹그로브 말고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산답니다. 바닷물이 드나드는 습지인 염습지에는 염분에 강한 염생 식물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DNA의 특정 부분을 잘라낼 수 있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줄기세포에 집어넣고, 이를 배양시키는 거예요. 네안데르탈인의 DNA 정보는 2010년에 뼈 화석에서 추출했지요.연구팀이 만들 미니 뇌는 콩만 한 크기로 실제 기능은 할 수 없지만, 기본적인 뇌 구조를 파악할 순 ... ...
- 침에서 DNA를 찾아 생태계를 파악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어렵지 않았어요. 연어가 많으면 그만큼 곰이 엄청나게 많아서 연어 사체와 땃두릅나무 줄기에 불곰의 침이 많이 묻어 있었거든요.앞으로도 우리는 연어에 묻은 불곰의 침으로 오랜 기간 불곰의 생태를 모니터링 할 예정이에요. 곰이 땃두릅나무 이외의 다른 식물의 씨앗도 퍼뜨리는지에 대해서도 ... ...
- 구조성공! 잠수 위험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동굴 안으로 흘러들어가는 주요 물줄기를 추적했지요. 그 결과, 동굴로 향하는 커다란 물줄기 두 개를 찾아내고, 임시 댐을 설치해 이를 막을 수 있었어요. 동굴 내부 수위를 떨어뜨린 덕분에 잠수부를 통한 구조가 가능해졌고, 소년들을 안전하게 동굴 밖으로 꺼내는 일만 남았어요. 소년들은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꽃이 낙지를 닮았네! 낙지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오늘 소개할 식물 ‘낙지다리’는 꽃이 낙지의 빨판을 닮았어요. 7~8월이면 낙지다리의 줄기 끝은 사방으로 갈라져요. 그리고 갈라진 가지마다 동그란 꽃이 줄지어 피어나지요. 꽃에 꽃잎은 없고 컵 모양의 꽃받침만 있어 생김새가 빨판과 판박이랍니다. 가지조차 낙지의 다리처럼 갈라져 나니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이파리가 거북의 꼬리를 닮았네! 거북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꽃이 달리는 줄기 부분을 말해요. 거북꼬리 줄기 중간의 꽃차례축에는 수꽃이, 줄기 위쪽의 꽃차례축에는 암꽃이 피어요. 수꽃은 짧은 꽃자루를 가졌고, 암꽃은 꽃자루가 없이 여러 송이가 작은 공 모양으로 촘촘히 달린답니다.숲에서 거북꼬리를 보면 암꽃과 수꽃을 구별해 보세요 ... ...
- [현장취재 2] 첨벙첨벙! 갑천에 민물고기 탐사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홍양기 박사님이 대원들을 인솔해 대전 갑천 상류로 이동했지요. 대전 갑천은 금강의 한 줄기로 수심이 낮고, 수초가 많아서 다양한 종류의 어류를 볼 수 있어요. “갑천에는 쉬리, 각시붕어, 감돌고기, 퉁사리 외에도 금강에서만 서식하는 천연기념물인 미호종개가 살고 있어요. 이 중에서도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영롱하게 빛나는 초록 갑옷, 비단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등을 비단벌레의 날개로 장식하기도 했답니다.비단벌레는 죽은 느티나무와 팽나무 줄기의 껍질을 파먹으며 자라요. 죽은 나무만 먹기 때문에 산림을 파괴하는 해충이 아니지요. 성충은 7~8월 즈음 1년에 한 번만 나타나는 데다 그 수가 적어 직접 보기는 무척 힘들어요. 과거 남부 해안과 지리산,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