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족
d라이브러리
"
팔다리
"(으)로 총 81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장벽에 막혀 7점에 그쳤다. 3위인 타르탄 레스큐의 로봇 ‘침프’는 두 팔을 달고 있지만
팔다리
에 무한궤도(캐터필러)를 달아 탱크처럼 굴러서 이동한다. 넘어질 우려가 적고 튼튼하지만 굼뜨고 무거운 것이 단점이었다. 오준호 교수는 “이런 로봇들은 모두 휴보에 비해 훨씬 많은 연구비를 투입해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가상현실은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인공 환경’을 말한다. 넓은 의미로 보면 기존 영화나 컴퓨터 게임도 가상현실에 들어간다. 하지만 과학자들과 IT기업이 지난 50년간 만들려고 시도해온 기술은 차원이 다르다.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해 세상에 없는 시공간을 마치 현실처럼 느끼도록 하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가는 비가 흩뿌리던 4월 29일 오후 7시. 이따금 갈매기 울음 소리만 들려오던 충남 태안 신진항의 한 횟집이 갑자기 시끌벅적댔다. "가까이 가보니 대접이 엎어져 있더라고요. 팔을 살짝 넣어서 그릇을 뒤집은 다음에 집었어요." "와~, 실력이 나날이 느네요!" 무용담을 쏟아낸 열댓 명의 남자들은 선박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현실이란 게 뭔가? 현실을 어떻게 정의할 텐가? 당신이 보고 느끼고 냄새 맡고 맛보는 데서 오는 전기신호를 뇌가 해석한 것, 그게 바로 현실이다.” -영화 ‘매트릭스(1999)’ 中 모피어스(로런스 피시번)의 대사우리 뇌에는 촉각을 느끼는 ‘감각영역’이 있다. 꼬집으면 신경을 타고 전기화학적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무선전력전송, 피 안 뽑는 혈당측정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전자파 인체흡수율(SAR)을 살펴야 한다. 체중 1kg당 컴퓨터 대기전력 수준인 1.6W(몸통)~4W(
팔다리
) 이상 흡수되면 안 된다. 이보다 많은 전자파가 특정 부위에 흡수되면 온도가 1℃ 넘게 오른다. 이 경우 면역계가 그 부위를 이물질로 인식해 공격을 시작한다. “저희 연구팀도 전자파 인체흡수율을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2015년 봄, ‘사도’라는 이름의 정체 모를 거대괴물이 지구에 나타난다. 이미 지구는 한 차례 멸망한 뒤 가까스로 재건한 상태인데, 이 괴물 때문에 또 멸망하게 생겼다. 인류는 사도를 물리치기 위해 인간형 거대로봇 에반게리온을 출격시킨다.1995년 나온 일본 애니메이션 ‘신세기 에반 게리온’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Q 인공피부란 무엇인가사람의 피부가 갖는 ‘자극 인지 기능’을 그대로 흉내낸 소자입니다. 여러 센서를 장착해 온도는 물론 촉각, 통각까지 다 느낄 수 있어요. 온도도 36.5°C로 체온과 비슷합니다. 사람 피부처럼 부드럽고 자유로운 형태를 지닐 수 있도록 센서도 쉽게 구부릴 수 있게 개발했죠.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설명하는 바닷가재의 헤엄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최근 미국의 캘리포니아대 수학과 티모시 루이스 교수는 바닷가재나 새우 같은 갑각류가 파도타기꼴로 헤엄을 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습니다. 허우적이는 줄 알았던 바닷가재의 헤엄 방법에 수학 원리가 있다니 신기하지요? 실험에 참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최초의 호모 속 조상’은 이렇게 생겼다 | 280만 년 전 첫 호모 속의 턱뼈를 자세히 뜯어보자. 어떤 특성이 있을까. 이 화석은 원시적인 종인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특성과, 진화한 종인 호모 속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다.]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 된 호모 속 초기 인류를 밝혀냈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거짓말의 기원은 어딜까. 진화생물학자인 미국 럿거스대 로버트 트리버스 교수는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거짓말을 “생명체 깊숙이 박혀있는 특성”으로 정의했다. 유전자가 스스로를 퍼뜨리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발명해낸 능력이 거짓말이란 말이다. 그의 생각은 영국 옥스퍼드대 리처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