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등을 정의하는 현재의 도량형은 모두 서양의 표준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가령 길이의 표준으로 쓰고 있는 m(미터)의 경우, ‘빛이 2억9979만2458분의 1초 동안 진공 속에서 이동하는 거리’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조선의 도량형과 유사점이 있다면 질량(kg)이 몰(mol) 같은 다른 도량형의 정의에도 ... ...
- [Origin] ‘슈뢰딩거의 고양이’로 만드는 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연산 오류율이 낮고 큐비트 간 연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서울대, KAIST, POSTECH 등에서 양자컴퓨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SK텔레콤이 양자통신 및 이온 트랩 양자중계기에 대한 독자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간 필자는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충족된다. 과학자들은 이 시기가 대략 2026년 이후일 것으로 예상한다. 유 센터장은 시간 표준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이나 광섬유를 이용해 우리나라의 광시계를 다른 나라의 그것과 비교하는 기술 또한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광시계는 제자리에서 1 cm만 들어올려도 중력 변화로 10-18 만큼의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양서류, 거대 고사리와 같은 양치식물 등 생물종이 매우 다양해졌다. 고생대를 대표하는 표준화석에는 삼엽충, 필석, 갑주어, 방추충 등이 있다.판게아가 형성된 말기에는 해양 생물의 서식지가 줄어들고, 기후가 급격히 변해 삼엽충과 방추충 등이 멸종하면서 생물종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3.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안개가끼거나 어두운 밤에는 또렷한 영상을 얻기 어렵다.이런 한계를 넘기 위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2016년 60m 거리에서도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CCTV를 개발했다. 이 CCTV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열적외선 카메라와 피사체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로 구성됐다. 사람의 체온에 가까운 34~3 ... ...
- [과학동아 X KRISS] 볼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약 100년 늦게 나왔지만, 오늘날 섭씨온도는 켈빈의 정의에 종속된다. 새로운 측정표준장비 ‘삼중점 셀'을 개발하다1967년 제13차 도량형총회에서는 켈빈을 물의 삼중점 온도(273.16 K, 0.01 ℃)를 273.16으로 나누는 것으로 정의했다. 고체인 얼음, 액체인 물, 기체인 수증기가 평형상태에 있는 물의 ...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 결과 소 두수, 성비, 아파트 비율은 양의 회귀계수로, 군사분계선으로부터의 거리와 표준공시지가는 음의 회귀계수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키우는 가축과 아파트가 많을수록, 군사분계선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말라리아 발생이 많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군사분계선으로부터의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때문이다.현재 우주를 관측해 보면 표준모형으로는 전체 우주의 5%밖에 설명할 수 없다. 표준모형이 기본적으로 물질(쿼크와 렙톤)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이론이다보니, 나머지 95%를 차지하는 우주의 암흑 성분이 무엇인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이미 밝혀진 5%와 어떻게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몰은 탄소-12 0.012 킬로그램에 있는 원자의 개수와 같은 수의 구성요소를 갖는 어떤 계의 물질의 양이다. 몰의 기호는 ‘mol’ 이다. 몰을 사 ... 매길 때도 몰 단위의 측정이 필수다. 이 책임연구원은 “아보가드로 상수로 새로운 표준이 정해진 만큼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더 많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오류까지 확인할 수 있는 초정밀 암 진단 센서가 개발됐다. 이태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팀은 염기서열 한 개 차이까지 구별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 5월 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miRNA)는 인간 세포에 2600개 이상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