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천
바깥
야외
교외
d라이브러리
"
한데
"(으)로 총 562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짝반짝~, 아기별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눈송이 모양으로 놓인 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태어났답니다. 그래서 이 별들을
한데
묶어 ‘눈송이 무리(Snowflake cluster)’라고 부르기도 해요. 은하수 남쪽에는 RCW 79라고 이름 붙여진 먼지 구름이 있어요. RCW 79의 한쪽 부분에서는 적어도 두 무리 이상의 많은 별들이 생겨났답니다. 5000만 ... ...
환상의 그림나라에서 알쏭달쏭 과학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림 속 과학을 찾는 수수께끼를 모두 풀어야 해. 지도에 뭔가가 잔뜩 표시되어 있기는
한데
…. 무도회장은 어디지? 에라, 모르겠다. 일단 찾아가 보자! 오색빛깔~, 색을 쪼개라!이 쪽에 그림이 하나 놓여 있네. 굉장히 평화로워 보이는 그림이긴
한데
, 흐음….이건 조르주 쇠라의 ‘그랑드자트 섬의 ... ...
수학을 알면 돈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경제를 튼튼히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단다.우철 : 무슨 말인지 알 것 같긴
한데
아직 이해가 잘 안 돼.아빠 : 우리나라를 몸이라고 생각해 봐. 그럼 돈은 몸속을 흐르는 피와 같고 금융산업은 심장과 같은 거야.우철 : 아! 온 몸 구석구석 필요한 곳에 피를 공급하는 심장처럼 금융산업은 돈을 ... ...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가까이에서 보면 밝은 부분(LED소자 자리)과 다소 어두운 부분(LED소자 사이)이 있을 법도
한데
, 어떻게 넓은 판에서 균일한 밝기로 빛이 나오는 걸까.“LED소자는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깔려 있는 게 아니라 평판조명의 테두리 부분에 있습니다. 즉 테두리에서 가운데로 빛을 내는데, 도광판이란 장치를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정자들과 심한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다.피셔 연구팀은 흰발생쥐 두 마리의 정자를
한데
섞었다. 그러자 예상대로 동일한 수컷에서 나온 정자들끼리 무리를 짓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놀랍게도 한 배에서 태어난 흰발생쥐 형제 간에도 서로 무리를 확연하게 구분 짓는 것으로 나타났다.흰발생쥐의 ... ...
아이, 로봇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걸까요?초점이란 오목거울이나 볼록렌즈에 평행하게 들어온 빛이 반사되거나 굴절돼
한데
모이는 점을 말합니다. 수학에서 다루는 도형인 포물선에서도 초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포물선은 초점과 직선 한 개가 있을 때 초점과 직선으로부터의 거리가 똑같은 점을 이어 그린 곡선을 말합니다.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 464쪽 | 1만 8000원아리스토텔레스부터 파인만까지 인류에게 과학의 빛을 밝힌 스타들이
한데
모였다! 대단한 과학자라도 삶에 역경이 있었다. 그들은 어떻게 어려움을 이겨내고 놀라운 업적을 남길 수 있었을까. 이 책을 읽다 보면 친구의 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과학자의 이야기를 친근하고 재미있게 ...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4번 타자 킬러라는 별명다운 문제를 가지고 왔군. 하하하. 이 퍼즐을 들어 본 것 같긴
한데
어떻게 하는 퍼즐이지?”도형과 로이드는 말론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4를 4번 써서 숫자를 만들어 내는 퍼즐이에요. 예를 들어 0은 44-44 또는 4-4+4-4로 만들 수 있죠. 그럼 1부터 10까지 수를 만들어 보세요.”2 ... ...
미국의 퍼즐 고수와 대결하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허풍이 혼자 중얼거린다.“크크. 이제 보니깐 도형이와 로이드 둘 다 승부욕이 대단
한데
요. 제가 비행할 시간이군요. 열심히 응원해 주세요. 나중에 또 봐요.”잠시 후, 허풍 일행은 하늘을 가르며 묘기를 부리는 에어하트의 비행을 보며 한시도 눈을 떼지 못한다.“보셨어요? 비행기가 한 바퀴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세밀하게 관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각 전파망원경으로 동시에 관측한 자료를
한데
모아 분석하는 ‘상관 작업’을 거치면 자료는 하나로 거듭난다. 이 작업을 마치면 전파망원경 3대가 지역적으로 서로 떨어진 거리만 한 지름의 초대형 망원경이 구축된 효과를 낼 수 있다. 지름이 수백km에 이르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