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점에 주목하고, 이 점이 냉장고에 넣었다 꺼내면 왜 더 빨리 생기는지, 이 현상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이런 식으로 질문을 확장시키는 겁니다. 답을 당장 몰라도 됩니다. 하지만 궁금해해야 합니다. 떠오르는 질문들을 항상 기록하고 정리하면 도움이 됩니다. 질문은 그냥 떠오르는 것이 아니며, ...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데이터는 동물들의 비정상행동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논문이나 정책자료로 활용될 예정이에요. 우동수비대 4기는 총 83팀이 참여합니다. 정형행동 없는 행복한 동물원을 위해 우동수비대와 함께해 주세요 ...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대한 강렬한 기억을 꼽았어요. 10세 때 사쿠라이 작가는 라디오를 직접 만들어 보며 이때 활용하는 공진주파수 공식인 을 알게 됐어요. 이때 ‘왜 여기 π가 등장하지?’라고 의문을 가지고 혼자 π의 역사와 의미를 탐구했어요. 이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과 그 핵심 아이디어를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38/s41586-022-04965-x 2022년 11월 기준, UK 바이오뱅크의 자료를 활용해 나온 논문만 6000편에 달한다. 한국은 2024년부터 ‘국가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6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최종 100만 명의 유전체 등을 분석하는 것이 목표다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채널 ‘지식인 미나니’를 운영 중이다. 최근엔 과학 만화책 ‘요즘 과학’, GPT-3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책 ‘인공지능이 알려주는 2023년 트렌드’도 펴냈다. skddl0514@gmail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초’ 만에 500km 상공에 있는 위성에 전달되는 셈이죠. 때문에 이런 양자의 특성을 통신에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많습니다. 앞으로 양자 얽힘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영화 밖 현실에서도 히어로가 탄생할 수 있을까요? 재밌는 호기심을 갖고 영화를 즐겨보세요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핵심 원리 ‘처프 펄스 증폭(CPAChirped Pulse Amplification)’부터 앞으로 초강력 레이저가 활용될 분야까지, 레이저과학 전반에 대한 강연이 끝나자 독자들의 질문이 쏟아졌다. “레이저로 핵융합을 할 수도 있나요?” “레이저는 어떻게 만드나요?” 김 연구위원은 질문에 하나하나 답하며 “미래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비슷하나 훨씬 독성이 적은 소의 전염성 질병인 ‘우두’에서 나온 면역 물질을 활용하는 예방법이다. 우두를 앓은 소의 고름이나 딱지에서 백신을 뽑아내 사람들에게 접종하면 훨씬 안전하게 천연두에 대한 면역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지석영은 1876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에 다녀온, 아버지의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를 통해 적층성형 기술과 그 결과물들이 반드시 여러분의 실생활에 널리 유용하게 활용되도록 만들겠습니다. ❋필자소개.김형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2013년 강원대에서 신소재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14년부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재료와 공정 간 상호 반응에 ... ...
- [과학사] 1869년 6월 1일 에디슨의 첫 발명품, '전자 투표 기록기'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처럼 전자기기를 활용해 투표하는 방식을 ‘전자 투표’라고 해요. 전자 투표에 활용되는 기계를 처음 고안해낸 사람은 바로 미국의 발명가 토머슨 에디슨(1847~1931)이에요. 당시 미국 의회에서는 투표 시간이 너무 길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서기가 의원의 이름을 부르면, 의원은 ‘예’ 또는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