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절
온정
d라이브러리
"
후의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발전이 상당부분을 차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도 문제가 되고 있는 원자력 발전
후의
폐기물과 환경파괴, 지역주민의 완강한 반대가 21세기에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더욱 더 어렵게 할 것이다.원자력 발전도 우주태양발전처럼 정지궤도상에 위치시켜 발전한 다음 마이크로파로 지구에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발사와 동시에 시작된다. 로켓 발사 시의 진동 및 충격과 위성체가 로켓에서 분리된
후의
우주환경인 초진공상태 및 극단적인 온도변화 그리고 방사능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구조물이 설계되고 제작되므로 지구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분야의 구조물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우리별 2호는 이러한 ...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프로판가스에 비해 공기가 충분하므로 계속 불길 없는 연소가 진행될 수 있으며 연소
후의
생성물이라야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뿐이므로 독성과 공해가 전혀 없다. 촉매 난로를 병아리 사육장에서 사용하면 가스로 중독돼 병아리가 죽는 일도 없다. 18세기 영국 과학자 프리스틀리는 점토를 넣은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통과하는 전하량에 비례해서 물이 전기분해된다는 사실을 이용하는데, 불을 켜기 전과
후의
물이 전기분해되어 발생되는 수소의 양을 비교해서 전하량이 보존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전하량의 단위는 쿨롱(C)인데 1쿨롱은 6.25X${10}^{18}$개의 전자가 갖는 전하량이다. 따라서 전자 한개가 갖는 ... ...
콜라와 세제의 닮은 점 아시나요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난
후의
소변 1천mL를 모아서 똑같이 실험해 보았더니 1.6g이나 차이가 났습니다. 마신
후의
소변에서 더 많은 인산이 검출된 것이지요. 따라서 음료수 속의 인산염은 마신다고 없어지는 게 아니고 소변에 섞여 나와 다시 물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물의 오염을 가중시킬 겁니다. 그런데도 우린 덥다고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시작83년에 접어들면 챌린저의 시대가 펼쳐진다. 챌린저는 출발부터 순조롭지 못해 3년
후의
참사를 예언해주는듯 했다. 발사가 82년말에 예정돼 있었으나 4개월을 연기 끝에 84년 4월에 발사됐다. 챌린저 시대부터 우주비행사는 7명으로 늘어났다. 처음으로 우주공간에서 의약품을 제조하는 실험을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이를 반증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가열하기 이전의 플라스크의 질량보다 가열
후의
질량이 감소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그는 감소한 질량이 물에서 생긴 앙금의 질량과 똑같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침전물은 물에서 전환된 것이 아니고 유리기구의 한 성분임을 1백1일간(1768. 10. 24~1769.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할 수 있다.우주탐험이 끝나면 '휴먼테크의 장'을 방문하게 된다. 이곳에서는 1백년
후의
인간생활이 어떻게 변하게 되는가를 보여준다. 침실에서 자는 동안 호흡 맥막 등이 자동 기록돼 매일의 건강상태가 체크되며, 꿈기록기(드림레코드)는 밤새 꿈을 꾼 영상을 재현해 준다. 주방에는 다양한 ... ...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하루를 보냈다.넷째날아침 9시에 드디어 출항. 파도는 1-2m로 약간 있었지만 오랜 기다림
후의
출항이었기에 모두들 환호성을 질렀다. 새똥으로 머리가 허옇게 된 오륙도를 지나 제1정점에 도착한 시간이 10시 40분.수온 염분을 측정하는 CTD장비와 수층별로 물을 떠올리는 로젯 샘플러, 그리고 ... ...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역할을 한다. 생태적으로는 다른 생물의 세력을 견제하는 조절물질이지만 왁스만 이
후의
많은 토양미생물 학자들은 흙속 고유의 미생물(방선균류)로부터 몇천 종류의 항생물질을 탐색하고 분리함으로써 인간과 가축류 어류 식물에 이르기까지 미생물이 일으키는 질병을 구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