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분야에 적용되는 중이다. 앞으로도 무궁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순도 100%’ 호기심은 측정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비인간 영장류에서도 호기심의 전염성을 연구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비인간 영장류의 호기심 연구는 제약이 많다. 호기심의 전염성은 물론, 호기심 행동에 대한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가지지만 전력 소모량은 프론티어가 21MW(메가와트는 100만 와트), 인간은 10~20W로 약 100만 배 정도 차이가 난다. 뇌세포의 연결이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방대하기 때문에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도 훨씬 적고, 부피 대비 저장 용량도 크다. 케이건 박사는 “뇌는 전체 뇌세포의 연결이 재조직되는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머리가 듬성듬성 섞인 노인에게는 머리에 흰 털 난 것들은 웃지 말라고 외치기도 했다. 100세를 넘기는 인간이야 많고 많았지만 그중에서도 제니는 고령자에 속했다. 제니는 올해 135살이었다. 최상의 수명을 의미하는 상수上壽에 이립而立을 합하고도 5년을 더해야 하는 나이란 말이다. 더 가혹하게 ... ...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있습니다. 먼저 반응속도가 액체 추진제보다 매우 느립니다. 이 논문은 금속 파우더를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단위로 만들어 반응 접촉면적을 물리적으로 최대화함으로써 전체 반응속도를 극대화했습니다. Alice, 가장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로켓 추진제 Alice 추진제의 성능 특성을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해도 그 물은 오래 남아있지 않을 것이다. 태양풍 때문이다. 태양풍은 태양이 매초 약 100만t(톤)씩 뿜어내는 플라즈마 입자의 흐름이다. 에너지가 몹시 높아 기체가 태양풍과 만나면 플라즈마 입자의 흐름에 말 그대로 ‘쓸려간다’. 화성에도 바다가 있었다. 미국 애리조나대와 스탠퍼드대 등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책을 저술했다. szhan@kims.re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금은 너희가 학교라는 울타리에 모였지만, 곧 사방팔방으로 흩어질 거야. 100명이 100가지의 다른 길을 갈 거야. 그러니 옆 친구와 비교하지 말고, 진짜 좋아하는 걸 찾아. 혼날 만한 일도 몰래 한번 해봐. 다치지 말고, 들키지 말고.” 한결 마음이 편해져 비교 대신 도전을 시작했어요. 연습이 ... ...
- [기획] 소아청소년과 왜 꼭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진료의 접근 방법부터 소아청소년과 어른은 차이가 있어요. 김찬 전문의는 “예를 들어 100일 미만의 아이가 열이 나면 호흡기감염, 요로감염, 뇌수막염, 패혈증 등을 모두 감별할 수 있는 진찰과 검사를 한다”며, “이 중 하나만 걸려도 위험할 수 있는데, 아기는 어른과 달리 스스로 어디가 아픈지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궁금하지 않음)부터 7(매우 궁금함)까지로 답하게 했다. 그리고 정답을 맞힐 자신감은 0~100%로 표현하게 했다. 참가자들은 질문의 답을 맞혔다는 자신감이 약 50%일 때 호기심이 가장 왕성했다. 실험 참가자들의 뇌 활동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보니 호기심이 강해질수록 뇌의 보상, 동기 ... ...
- [논문탐독] 수소 에너지를 현실로 더 가까이, LOHC 신소재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개발할 소재의 상용화를 목표로 삼고 진행했습니다. 이런 연구 방향에 맞춰서 약 100mL의 실험실 규모에서 출발해, 상용화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는 규모인 약 20L까지 새로운 LOHC 소재를 합성해냈습니다. 또한 이처럼 합성 규모를 확대하면서도 최종 합성물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