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방법"(으)로 총 5,9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정에 수정에 수정을 더해서~포스팅 l20240807
-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올릴 수 있는 용량이 별로 안되서 14초 짜리 타임랩스 올리긴했는데 저거 6시간 짜리입니다. 머리카락에서 막혀서 6시간 째 저러고 있어요. 슬럼프인지 채색하는 방법이 생각이 안 나더라구요... 지금도 머리카락 채색 다시 갈아엎어야 하나 고민 중 입니다. 누가 제발 반무테 그 ...
- 새호리기가 멸종위기라고?기사 l20240804
- 도래해서 번식하고, 10월까지 국내에서 서식하는 나그네새입니다. 그런데 이 멸종위기종 새호리기를 집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네이버 지도에서 보령해저터널홍보관 옆 외부회전 카메라 2번 CCTV로 손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새호리기가 우리나라를 떠나기 전에 관찰 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만약에 운이 좋다면 새호리기가 먹방하는 ...
- 저 어떡하죠…포스팅 l20240731
- 스케치북 어플 사용자인데 지금 색깔 변경하는 아이콘이 사라졌어요...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
- 코오롱 One and only 타워 견학!기사 l20240731
- 등을 둘러봤다. 난방 시스템도 신기했는데, 바닥에 차가운 물이나 뜨거운 물을 흐르게 해서 온도를 바꾸는 것이 신기하고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난방비가 많이 줄어들 것이다. 마지막 교육에서는 우주에 관한 여러 가지 유익한 사실들을 배울 수 있었다. 우주의 평균온도는 무려 -270나 된다고한다. 아마 그 정도면, 모든 생명체가 살기 매우 어 ...
- 국제 우주과학 학술대회, COSPAR 2024에 다녀오다!기사 l20240727
- 나이를 방사선 등위원소로측정하셨다고 들었는데 태양계보다 더 큰 우주도 가능한가요? A. 은하계의 나이는 스케일이 다르고 측정 방법도 다르다. Q. 화성 암석을 연구하게 되면 지구 생명체 기원을 알 수 있을거라 하셨는데 반대로 지구의 미래도 알 수 있나요? A.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과거를 먼저 알아야 한다. 어린이 기자단의 ...
- COSPR 2024에서 M.S.R.(화성 샘플 귀환) 프로그램 강연 (재작성-사진 오류)기사 l20240726
- 측정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박사님은 우주의 나이는 타임스케일이 태양계와 달라서 은하계나 우주의 나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은 천체 물리학계에서 쓰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측정한다고 하십니다. 제가 일하고 싶은 NASA에서 연구하시는 박사님을 직접 뵙고 인터뷰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너무 행복하고 기뻤습니다. 그렇게 해서 미션 ...
-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 고흥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우주로의 가능성을 엿보다.기사 l20240726
- 바닥에 있는 레일을 통해 따뜻한 물이 순환하여 보일러 역할을 한다고 하니 정말 간편하면서도 노동력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라 신기하고 놀라웠습니다. 유리 온실창을 통해 주렁주렁 열려있는 멜론을 보았는데요. 노지의 경우 보통 1년에 2번정도 멜론 수확이 가능한데 유리온실 스마트팜에서는 효율적인 생육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 ...
- 여성 발명왕 expo기사 l20240725
- 발명을 하셨다니 놀랐습니다. 저는 탄산이 빠진 음료를 마실 때 맛이 없다고만 생각을 했지 탄산을 빠지지 않게 막을 방법은 생각해보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선생님을 뵙고 돌아오는 길에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내가 불편하게 생각했던게 무엇이 있을까? 세상에 당연한건 없습니다. 불편하다면 조금만 다른 방향으로 생각을 해보자! 오!!! ...
- 저는 친구와 이렇게 논답니다포스팅 l20240725
- 물기.(찐으로 물어요ㅋㅋㅋ)머리 통깁스로 때리기(별로안아픈데 돌부딪히는 소리남)(참고로 친구는 전력이었음ㅋㅋㅋ)강철의아이 노래부르기(최애의아이 노래 가사를 이상하게 개사한겁니다 근데 모티브가 저에요;;)마계학교 이루마군 교가 아주 크게 ... 늘 제가 들어줍니다)업고 뛰기(쌤없을때)목마태우기ㅋㅋㅋ(친구가 사물함에 올라가있을때 제가 목마를 태워줍니다) 여기 ...
- 와 함께하는 우주로의 여행기사 l20240724
- 하고, 시원하게 해주기도 하며 적정온도를 유지해 주기 때문에 큰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매우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에어컨이나 난방을 과하게 쓰지 않아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침 제가 지나갈 때 냉수가 밑에 지나가고 있다고 하셔서, 바닥을 만져보니 아주 차가웠습니다. 또, 건물에는 빗물받이가 곳곳에 만들어져 있어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