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이론"(으)로 총 2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변한다는 뜻이죠. 만약 어떤 물체가 빛의 속도보다 빨리 움직이면 시간이 점점 느려지고, 결국 과거로 갈 수 있답니다. 하지만 이것도 이론일 뿐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죠. 아직까지는 빛보다 빠른 물체를 발견하지 못했거든요…. 취급주의 방에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명언이 있습니다. 이 명언을 곱씹으면서 다음 방으로 이동하는 게 어떨까요. “시간은 ...
- “이리 와 이리 와”좀비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독일의 수학 잡지에 논문을 발표하는 등 어려서부터 천재성을 발휘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수학을 비롯해 게임이론, 수리경제학, 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특히 그가 고안한 프로그램 방식은 오늘날 모든 컴퓨터 설계의 기본이 되고 있다. [소제시작]미래속으로[소제끝] 바다 밑으로 중국과 일본 간다 {BIMG_R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1)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비켜 돌아나가기 때문에 가운데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게 펜드리 교수의 이론이야.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지만, 아직 이론상으로만 가능하다는 게 단점이지. 그렇다면 투명 산타클로스는 아직 불가능한 건가? 포기하기는 일러. 일본 도쿄대학교의 스스무 다치 교수팀이 실제로 투명망토를 시연해 보였거든. 이 때 사용된 원리도 빛의 굴 ...
- 2020년 한국도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대표적인 업적인 불확정성의 원리를 발표한다. 이것은 전자 같은 작은 입자의 위치와 운동 상태는 한꺼번에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이론이다. 그는 1932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BIMG_r11}1972년 12월 7일 아폴로 우주선 마지막 발사 1969년 7월 20일 닐 암스트롱 등 세 명의 우주인은 아폴로 11호를 타고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
- 블록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재미있게 설명하면 얼마나 좋을까?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강석진 교수님은 ‘양자군 표현론’이라는 이름만들어도 어려운 수학 이론을 레고 블록과 테트리스 게임으로 설명한 논문을 2003년에 발표하셨어. 이 논문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학술지에 여러 번 소개됐단다. 미국 대학원생의 교과서에도 실렸지. 강석진 교수님은 수학 자체가 블록 놀이처럼 재미있는 것 ...
- 태왕사신기-사신의 부활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해는 양의 기운을, 달은 음의 기운을 대표한다. 오행론은 우주만물이 나무, 쇠, 불, 물, 흙이라는 다섯 가지 기운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오행의 기운이 작용하는 다섯 가지 방위를 ‘오방’이라고 하며, 동쪽은 나무, 서쪽은 쇠, 남쪽은 불, 북쪽은 물, 중앙은 흙의 기운이 다스린다고 여겼다. 이러한 오행론을 따르던 고구려 사람들은 오방 ...
- 훈련받는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박사가 최근 ‘네이처’라고 하는 유명 과학 잡지에 소개한 바다 파이프예요. 러브록 박사는 지구가 살아 있는 유기체라는 가이아 이론을 주장한 유명한 과학자죠. 그렇군요. 그런데 키가 아주 커요. 전 길이가 100~200m, 지름은 10m예요. 맨 아래는 바다 깊숙히 내려가 있고 위에는 물에 동동 뜨는 부표가 달려 있어 바다 속에서 흔들흔들 매달려 ...
- 천재 앵무새의 마지막 한 마디 “사랑해”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7일 코펜하겐에서 태어났다. 코펜하겐대학교 강사로 연구를 시작해 러더퍼드의 원자모형에 플랑크의 양자가설을 적용한 새로운 원자 이론을 세웠다. 그의 연구는 고전 원자론과 현대 양자론을 결합한 것으로 훗날 양자역학으로 발전했다. 1922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미국의 맨해튼계획에도 참가했으나 후에는 평화운동에 뛰어들었다. *맨해튼계획 : 미국의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2)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얘기를 하다 좀 늦었습니다. 고 기자는 지전설이 무엇인지 알고 있나? 지전설은 지구가 하루에 한 번씩 자전해서 낮과 밤이 바뀐다는 이론이네. 서양에서는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발표한 이후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대해 알려져 있었지만, 당시 동양에서는 지구가 움직일 거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않았다네. 그걸 내가 생각한 거지. 게다가 나는 또 다른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있다는 원자론을 한 걸음 더 발전시켰거든. 그 결과 같은 원소의 원자는 크기, 모양, 무게가 똑같지만 다른 원소끼리는 서로 다르다는 이론을 세웠지. 즉, 산소와 이산화탄소 원자는 서로 다르다는 얘기야. 게다가 원소를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을 생각해 냈네. 아이디어가 뛰어나지 않은가? 화학의 퍼즐, 주기율표를 만들다 {BIMG_R13} 고 기자, ...
이전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