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인구"(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선물 발송 전문가 ‘산타다 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1212
- “울면 안 돼, 울면 안 돼~,오늘 밤에 선물 주신대~”♪♬ 올해도 어김없이 크리스마스가 다가왔다. 이맘때가 되면 가장 바쁜 사람이 있다. 바로 산타클로스 할아버지와 그의 사슴 루돌프. 지구 인구는 이미 69억 명을 넘어섰고, 그만큼 산타 할아버지의 손도 바빠졌다.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24호(2012년12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
- 판타스틱! 2009 첨단 농업 쇼(1)어린이과학동아 l20091013
- 생산하기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하게 되었죠. 처음에는 햇빛과 물, 땅에 의지하며 사람의 손으로 작물을 키웠어요. 하지만 인구는 늘어나고, 농작물을 키울 땅이 부족해 충분한 식량을 공급하기가 어려워졌어요. 그래서 농업은 사람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새롭게 디자인되고 있답니다. 그 중심에는 첨단 과학이 있죠. 지금부터 2009 첨단 농업 쇼에 여러분 ...
- 아기돼지 삼형제의 첨단빌딩 프로젝트(1)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필요하게 되고, 이 식량을 얻을 농경지가 있어야 하지. 2050년에는 최대 92억 명까지 인구가 늘어나게 될 전망인데, 늘어난 만큼의 인구에게 필요한 식량을 얻기 위해서는 브라질 면적만 한 땅이 필요하다고 해. 단순히 빌딩 안에 농장을 짓는 마술을 보여 주는 것에 더해 식량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빛나는 아이디어를 가진 수직농장이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1)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벼룩 등을 통해 전염병을 퍼뜨린다. 쥐가 퍼뜨리는 전염병으로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흑사병이다. 14세기 중세 유럽을 덮친 흑사병은 인구의 약 3분의 1을 죽이기도 했다. 중세 이후 한동안 조용했던 흑사병은 최근 인도, 아프리카, 중국 등에서 다시 발생하고 있다. 1993년 미국에서 유행해 큰 피해를 준 한타바이러스 폐증후군도 쥐를 통해 옮는 ...
- 지구 곳곳, 무엇을 먹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최고가 미국인데 우리나라도 점점 미국과 같은 식생활로 변해가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사람이 3년 전엔 전체 인구의 35.5%였지만 현재는 42%나 됩니다. 왜 한쪽은 먹을 것이 부족해 힘들고, 다른 쪽은 넘치는 음식으로 뚱뚱해져 고민하는 걸까요? 우리는 과연 무엇을 얼마만큼 먹는 것이 좋을까요? 지난 일주일 동안 먹은 음식 ...
- 생물자원 전쟁_크리스마스트리를 지켜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약을 만들거나 김치, 요구르트 등의 발효식품을 만드는 데 이미 미생물이 쓰인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겠지? 미생물은 흙 1g 속에 중국 인구보다 더 많은 20억 마리가 살 정도로 그 수가 많고, 아직 연구하지 못한 것들도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미생물자원이 풍부한 편이다. 우리나라에서 미생물로 어떤 기술을 개 ...
- 화장실 익스프레스(2)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아쉽습니다. 여기서부터는 기차 레일이 이어지지 않아 다음 역으로 갈 수 없습니다….” 왜? 어째서? 다음 역이 없는 거지? “세계 인구의 40%가 화장실 없이 살아가고 있어요. 즉 첫 번째, 두 번째 역쯤에 머무르고 있는 거죠. 두 번째 역 기억나요? 네~, 비위생적인 환경 때문에 아주 많은 사람들이 죽었죠. 지금도 마찬가지예요. 한 해 150 ...
- 생명공학의 발전, 우리에게 불행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070629
- 때문에 식량과 자원은 부족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도시에 인구만 조금 늘어나도 주택이나 교통망을 늘려야 하는데,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늘어난다면 크고 작은 문제들이 빚어지는 게 당연하다. 대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사용 후에 다시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친환경 자원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 같다. ...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2)어린이과학동아 l20070430
- 같은 양의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약 1만 배나 크다. 이산화탄소 석탄, 석유 같은 화석연료를 태우면 이산화탄소가 나온다. 인구가 늘어나면서 에너지 소비가 늘어나고, 이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더 많은 화석연료를 태우면서 이산화탄소가 늘어나고 있다. 지구 온난화의 약 60%가 이산화탄소 때문이다. 아산화질소 아산화질소는 석탄을 태울 때, 혹은 ...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8
- 표현하기 위해 지도를 화려하고 정밀하게 만들었다. 현대의 지도는 지형을 표현하는 것을 넘어서 바다, 지질, 교육, 문화재, 교통, 인구 등 다양한 정보들을 표현한다. 때문에 과학과 경제 수준이 높은 나라일수록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지도를 만든다. 지도는 역사의 증인 독도가 자기 땅이라는 일본의 주장이 틀리다는 것을 무엇을 보고 알 수 있을까? ...
이전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