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7,7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 식약처 "독감백신 2800만명분 국가출하승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협력센터'로 지정된 것을 기념하는 현판식을 12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WHO 협력센터는
국제
보건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WHO에서 지정하는 분야별 전문기관을 의미한다. 질병청은 항생제내성분야, 팬데믹 대비·대응 분야에 이어 세 번째 WHO 협력센터를 운영하게 됐다 ... ...
“인간의 추론능력, ‘멀티태스킹’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한번에 하나씩 추론하는 작업 과정으로 해결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1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에 발표했다. 사람은 공과 사과를 구분하는 일처럼 단순하면서 명확한 답이 있는 과제에는 매우 높은 정답률을 보인다. 반면 머릿속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돌려야 하는 ... ...
[동물do감] 다채로운 무당벌레 색깔, 색소·구조 합작품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색소와 구조색의 복합적인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1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에 공개했다. 구조색은 표면 구조로 나타나는 색채를 의미한다.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무당벌레는 보통 진딧물 등 해충을 잡아먹어 대표적인 익충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무당벌레의 ... ...
폐 손상 막는 법, 엉겅퀴서 해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엉겅퀴 추출물이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을 개선하는 신약 소재로 쓰일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치명적인 폐 손상이 발생하 ... 수 있는 엉겅퀴 유래 신약 소재 개발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식물 의약’에 발표됐다 ... ...
말 못하는 루게릭병 환자, 감정 섞인 노래까지 했다…BCI 기술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순간의 뇌파를 기반으로 바로 합성음을 생성하는 BCI 시스템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12일 게재됐다. 기존 BCI 기술은 사용자가 문장을 모두 구성한 뒤 음성을 출력하거나 단조로운 톤의 음성만 생성하는 데 그쳤다. 이번 연구에선 발화 의도와 동시에 억양 변화나 특정 ... ...
박남규 교수, 한국인 최초 日 'NIMS 어워드'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태양전지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된다. NIMS 어워드 2025 시상식은 올해 11월 11일 일본 츠쿠바
국제
회의장에서 열리는 'NIMS 어워드 심포지엄'에서 개최된다. 심포지엄에서는 박 교수의 기념 강연도 진행된다 ... ...
알츠하이머병 감별하는 '족집게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공동연구팀을 결성해 퇴행성 뇌 질환들이 보이는 임상 모습을 관찰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JAMA 신경학’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치매는 알츠하이머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등 여러 갈래로 나뉘며 각기 다른 임상 양상과 병리적 메커니즘을 보인다. 임상 증상만으로 치매 종류를 ... ...
페로브스카이트와 빛의 만남 '100조분의 1초'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변화를 정밀하게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빛 흡수율과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아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LED) 등 광전소자 분야에서 '꿈의 소재'로 평가된다. 물질의 특성을 ... ...
근육 마비되는 루게릭병, 새 치료 전략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안전성 및 임상 유효성에 대한 연구도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분자 신경퇴화’에 지난달 20일 게재됐다. - doi.org/10.1186/s13024-025-00848- ... ...
췌장암 정조준하는 치료제 개발…항체·나노전달체 결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이뤄질 수 있도록 후속 연구와 임상적 적용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분자 암’에 4월 21일 게재됐다. - doi.org/10.1186/s12943-025-02325-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