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뉴스
"
사진
"(으)로 총 12,984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하트 무늬가 큰 역할을 했다. 2015년 우주탐사선인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명왕성
사진
에 사랑의 표식인 하트 모양 지형이 선명하게 포착됐기 때문이다. 최근 이 하트 지형이 형성된 원인이 비교적 정확히 밝혀졌다. 해리 밸런타인 스위스 베른대 물리학연구소 우주 및 행성 과학 연구원이 이끄는 ... ...
[극한호우, 우리]⑤ 한국, 1+1=3이 되는 길 찾아야…반지하 거주민 대책도 필요(끝)
2024.05.31
찾아 그린 인프라의 빗물 처리 효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사진
은 시간당 200mm 강우모사실험장면. 과학동아 특별취재팀 제공 "이게 시간당 200mm 비입니다!" 박재록 한국그린인프라·저영향개발센터 연구원이 레버를 돌리며 소리쳤다. 마른하늘에 비가 내리는 소리가 시끄럽게 퍼졌다. '200mm'라는 ... ...
인공위성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 20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사진
을 공개한 데 이어 두 번째다. 공개된 미국 텍사스주 대규모 농장 '밀로 센터'의
사진
을 보면 농작물의 생육 상태가 우수한 지역과 아닌 지역이 확연히 드러난다. 근적외선 촬영 시 건강한 잎은 근적외선을 크게 반사하고, 덜 자라거나 병든 잎은 가시광선을 상대적으로 많이 반사하는 점을 ... ...
우주인 뽑고 신약 개발 플랫폼 우주 설치…尹 "우주 광개토 프로젝트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우주항공청 개청식 및 제1차 국가우주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대통령실통신
사진
기자단 제공 30일 경남 사천에서 진행된 우주항공청 개청식과 함께 열린 국가우주위원회는 '제2의 우주인' 배출과 신약 개발 플랫폼 우주공간 설치 등을 담은 안건을 논의했다. 화성 탐사선 개발로 광복 10 ... ...
[극한호우, 우리]④ '녹색 스펀지'가 된 베를린…홍수 방재에 오염수 정화까지
2024.05.30
아들러스호프 지역의 주택단지 퓨처리빙(Future Living)에서 그린 인프라를 살펴봤다.
사진
속 움푹 파인 구덩이는 극한호우 시 빗물을 저류하는 식생체류지다. 과학동아 특별취재팀 제공 "여기 정원이 제가 루멜스부르크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소입니다. 양쪽에 보이는 6층짜리 건물 위에 옥상 녹화 ... ...
[극한호우, 우리]③ 도쿄 지하엔 '거대신전'…주택침수 10분의1로 줄였다
2024.05.29
그레이 인프라인 상자형 지하 조절지, 터널형 지하 조절지(지하터널)로 이뤄져있다.
사진
은 시라코강 지하터널이다. 과학동아 특별취재팀 제공 도쿄는 2023년 12월 앞으로 평균 기온이 2℃ 상승할 것을 고려해 하천을 정비하고 조절지와 같은 수해 방지 인프라가 2100년에도 지금처럼 역할하게 한다는 ... ...
'도청 차단' 양자 통신 위한 신개념 단일 광자 발생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원형 편광 단일 광자 발생기의 모식도(왼쪽) 및 전자현미경
사진
(오른쪽). 서울대 제공 연구팀은 텅스텐 다이셀레나이드(WSe2)라는 아주 얇은 2차원 물질과 한 변이 10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정도인 정육면체 모양 금 나노입자를 결합한 단일 광자 발생기를 구현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자기장 시작점 기존 이론 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5
표지에는 2010~2020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 태양역학관측소(SDO)가 촬영한 약 150장의 태양
사진
을 합성한 이미지가 실렸다. 태양의 흑점 주기를 따라 변화하는 태양 자기장을 포착한 모습이다. 21년만의 강력한 태양 폭풍 영향으로 최근 지구 곳곳에 화려한 오로라가 관찰되고 있다. 태양 표면에서 ... ...
흑과 백을 더욱 분명하게 구분하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회복한 어린이는 컬러 이미지를 보여주고 같은 이미지를 흑백으로 바꿔 보여주면 흑백
사진
을 잘 식별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 실험 결과에 주목해 시각 시스템이 미성숙한 시기에 아기가 색에 대한 제한적인 시각 때문에 아기의 뇌가 흑백 이미지를 인식하는 데 능숙해진다는 가설을 세웠다.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④ "육아휴직 불이익 우려…경쟁 과열이 저출산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통해 간극을 줄이고 좋은 결론이나 타협안이 나올 수 있다. 아이가 자라는 시간을
사진
으로 본 것과 직접 본 것은 다르다고 생각한다. 사람마다 고민이 있겠지만 그래도 지금 아이와 추억을 쌓는 게 나중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