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컷
샷터
셔터
숏
셧터
shot
뉴스
"
샷
"(으)로 총 343건 검색되었습니다.
“능욕의 땅 아프리카는 인류 문명의 요람”
동아일보
l
2018.09.12
縱橫) 세계일주’라는 인생 목표를 완수했다”며 “이 책은 그 목표를 이룬 ‘인증
샷
’이자 새로운 도전의 시작점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최종 목표는 문명교류학을 학문적으로 정립하는 연구총람을 내는 거예요. 적어도 책을 스물세 권 내야겠더군요. 지난해 다시 유럽 20여 개 나라를 일주했고, ... ...
[표지로 읽는 과학]기술이 발달해야 생물학 혁신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1
체내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단백질은 물론 바이러스 등의 생체 분자의 ‘스냅
샷
’을 찍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한차원 높은 생물학의 발전이 찾아오리란 전망도 나온다. 한편 이번호에는 과학칼럼니스트인 이판 청이 쓴 ‘단일 입자 움직임보는 초저온 전자현미경’, 가빈 크노트의 ... ...
게임 '서든어택' 개발 뒷얘기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8.07.14
견디려면 오른쪽 다리에 힘을 더 주고 왼쪽으로 도는 것이 유리하다. 서든어택 스크린
샷
이를 이용해 FPS에서는 유저가 총을 오른손으로 쥐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래서 벽 뒤에 숨어 있다가 상대편에게 총을 겨누거나 다른 지점으로 이동해야 할 경우, 오른쪽으로 나와 왼쪽을 보는 경우가 훨씬 ... ...
구글 렌즈, 텍스트 너머 세상을 검색한다
2018.06.29
학습을 도우면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늘어나고 있다. 구글렌즈 스크린
샷
요즘 구글이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는 패턴이 흥미롭다. 세상에 없던 새로운 것은 맞는데 어디선가 본 것 같다. 그리고 그 동안 기술적으로 ‘어렵다’는 생각이 머릿속 깊이 뿌리 내린 것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 ...
초저온 전자현미경이 포착한 지카 바이러스 실제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6.27
실제 생명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단백질, 바이러스 등 생체 분자의 ‘스냅
샷
’을 찍을수 있다. 지카 바이러스는 급성 발열병을 일으키는 뎅기(dengue) 바이러스나 황색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 일본뇌염 바이러스 등 플라비 바이러스속의 유사한 바이러스보다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 ...
“세상에서 가장 빠른 DB” 볼트DB 한국 상륙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6.15
로깅(쓰기 실패시 원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많은 프로세스가 사용됐는데 스냅
샷
과 커맨드 로깅(Command Logging)이라는 방식을 통해 이같은 비효율을 최소화 시켰다. 이런 아키텍처로 데이터 처리 프로세싱의 부수적인 자원 낭비를 제거했다. 대규모병렬컴퓨터(MPP)를 도입해 노드가 증가하면 ... ...
인간의 호흡법은 바다 화산의 극한 미생물에서 유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1
실제 생명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단백질, 바이러스 등 생체 분자의 ‘스냅
샷
’을 얻을 수 있다. 최초의 생명체라할수 있는 극한미생물이 호흡할 때 작용하는 단백질 복합체의 분자구조가 밝혀지면서 이를 바탕으로한 생명체의 에너지 생산체계 진화 과정 연구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인이 암세포를 이고 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4.09
있다. 셀은 이것이 암 정복을 위한 '문
샷
(Moonshot)' 프로젝트를 상징한다고 밝히고 있다. 문
샷
은 미국 케네디 정부가 인류를 달에 보내기 위해 연구 및 투자역량을 집중한 아폴로 프로젝트의 또다른 이름이다 ... ...
빠질 것 같은 거대하고 아찔한 틈
팝뉴스
l
2018.04.02
구도가 뛰어나 긴장감을 일으킨다. 한편 일부 용감한 이들은 이 틈을 뛰어넘으면서 인증
샷
을 촬영해 인터넷에 올리기도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떨어진 ‘알파 센타우리’에 광속의 5분의 1 수준인 초소형우주선 1000개를 보내는 ‘스타
샷
프로젝트’를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그는 “지구는 아름다운 곳이지만 영원할 수 없다. 인류의 미래를 위해 지구 밖 별들로 시선을 돌리고 우주로 계속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2014년에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