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pectrum
분광
스펙트럼분석
분석
스팩트럼
연속체
뉴스
"
스펙트럼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산대 연구진, 성능 개선된 양자통신용 광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자기화를 나타내는 결정이다. 하지만 비선형 결정으로 생성된 양자얽힘 광원은 광자
스펙트럼
이 넓어 광자를 저장하고 제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문 교수팀은 원자 증기 셀에서 이런 광자 특성을 제어해 효율이 높은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했다. 원자 증기 셀은 빛이 진행할 수 ... ...
日 다음 탐사대상 소행성 ‘파에톤’ 특성, 국내 연구팀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시계방향으로 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파에톤이 자전하는 동안 일어난 빛 특성(
스펙트럼
) 변화를 분석한 결과 비교적 큰 변화가 없어, 소행성 표면이 화학적으로 다른 성분이 섞이지 않은 비교적 균질한 성분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했다. 소행성이 태양열을 받아 변성이 일어날 경우 전체에 고르게 ... ...
한미약품 "기술수출 호중구감소증 신약, FDA 허가신청 취하"(종합)
연합뉴스
l
2019.03.15
등에 대해서는 FDA의 지적이나 요청 사항이 없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조 터전
스펙트럼
사장은 "FDA와 지속해서 논의를 이어가며 재신청을 뒷받침하기 위한 추가 자료를 제공하겠다"며 "성공적인 재신청과 허가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중구감소증은 항암치료나 감염 때문에 백혈구 내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
2019.03.10
빛에 대한 연구는 현대 이론물리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빛의 이중성과 흑체복사
스펙트럼
연구에서 양자역학이 탄생했고, 관측자와 무관하게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은 상대성이론의 발견을 가져다줬다. 또 그로부터 흥미로운 시공간인 블랙홀의 존재도 알게 됐다. 빛은 세상을 밝게 ... ...
다채로운 색 구현하는 나노 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10억분의 1미터) 크기로 제작된 2개의 ‘나노 포토닉 구조’를 쌓는 원리로 빛의 반사
스펙트럼
을 가시광 대역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나노 포토닉 구조는 나노미터 크기로 만들어진 표면이나 입자가 만드는 광학적으로 특별한 현상을 뜻한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메냐는 올림픽 여성 800m 3연패 할 수 있을까
2019.02.26
높고 과학 역시 남성과 여성은 두부 자르듯이 나눌 수 있는 게 아니라 남성성과 여성성의
스펙트럼
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남녀차별을 없애야 한다고 해서 스포츠에서 남녀 경기를 구분하지 않을 경우, 엘리트 체육 현장에서는 여자 선수를 보기 힘들 것이다. 적어도 스포츠에서는 ... ...
이웃한 은하가 은하를 변화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정확한 회전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400개 은하를 분석했다. 3차원 분광 관측은 은하의
스펙트럼
을 공간적으로 잘게 쪼개어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최신 관측 기법이다. 연구진은 은하들의 회전축을 나란히 정렬하고 주변 은하들의 운동방향의 분포를 겹쳤다.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는 운동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완벽하게 짜놓았음에도 왜 IUPAC은 여전히 ‘미결정 주기율표’를 쓰고 있는 것일까.
스펙트럼
실험결과 란타넘(La)과 악티늄(Ac)의 전자배치가 마델룽 규칙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마델룽 규칙에 따르면 란타넘은 [Xe]4f(1)6s(2)이어야 하지만([Xe]은 제논(Xe)의 전자껍질까지 ... ...
내가 우울한 건 ‘장내 미생물’ 때문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동물 연구 결과를 2013년 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이 연구로 장내미생물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 사이의 관련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구팀 역시 이 발견을 역이용해 해당 박테리아를 장 안에 공급할 경우 증세를 개선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외계 신호'를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6
날아왔다. FRB 121102보다 절반 이하 거리의 가까운 곳에서 발생한 셈이다. 또 연구팀은
스펙트럼
변화 등을 분석한 결과 FRB 121102와 분출 메커니즘이 비슷하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올해 차임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FRB를 1000개 이상 관찰할 예정이다. FRB에 대한 데이터가 쌓이면 FRB가 어디에서 어떻게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