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pectacles
글래스
glasses
안갱
쌍안경
코안경
모토로라
뉴스
"
안경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모양을 변하게 만든 것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펌프나 모터 등 부품이 추가로 필요해
안경
렌즈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ETRI 측은 이런 방법 대신 ‘전기활성폴리머’라는 압전소자에 주목했다. 압전소자는 힘을 주고 누르면 전기가 발생하고, 반대로 전기를 흘리면 모양이 달라지는 ... ...
광대역에서 빛의 편광 자유자재로 조절
2014.11.25
성공했다. 편광이란 빛이 한 방향으로만 진행하는 현상을 말한다. 사진기나
안경
렌즈 등에도 일부 쓰이는 기술로 빛의 방향을 제어하면 더 또렷한 영상을 볼 수 있다. 이 기술을 광통신 등에 적용하면 지금보다 훨씬 더 빠른 통신망 구축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민범기 KAIST 기계공학전공 ... ...
암 환자 위한 스마트 가발 “신기하네”
2014.11.13
선정, 시상할 계획이다. 대회 위원장인 유회준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는 “시계,
안경
, 의류 등에 IT를 적용한 웨어러블 기기가 주목받고 있다”면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스마트 기술이 융합된 최첨단 웨어러블 기기를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회 기간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카메라가 달린
안경
과 망막 시신경을 무선으로 연결해 시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도 이
안경
만 쓰면 앞을 볼 수 있다. 미국, 독일 등 해외 선진국이 인공 눈을 먼저 개발했지만 국내 연구진은 이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지금까지는 수술을 통해 눈동자에 직접 신경 자극기와 무선수신기 같은 부품을 ... ...
초대형 태양 흑점 발견, 지구의 14배 크기…별명도 “괴물 흑점”
동아닷컴
l
2014.11.05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발견된 초대형 태양 흑점은 망원경 등의 장비 없이 일식 관찰용
안경
만으로도 관측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다. 당초 이 흑점은 'AR 2192'로 명명됐으나, 관측 사상 25년 만에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해 '괴물 흑점'이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한편 초대형 태양 흑점이 발견된 당시 ... ...
대표 과학축제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부산에서 열린다
2014.10.28
KAI는 항공기 시뮬레이터 체험을 진행한다. 벤처기업에서 개발한 감정표현 스마트
안경
, 근골격제 질환을 예방하는 웨어러블 기기 등도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과학창의 독서배틀대회’가 처음으로 열린다. 중·고생들이 창의재단이 선정한 우수과학도서를 활용해 팀 단위로 연극이나 TED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얼굴보다 더 엄격한 잣대라고 볼 수도 있는데, 얼굴이야 주관적인 면도 있고(제 눈에
안경
) 성형이라는 개선 수단도 있지만 수치로 표시되는 객관적 실체인 키는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키와 관련된 변이 수 백개 찾아 얼굴도 그렇지만 키 역시 대체로 유전을 따르는 것으로 ... ...
[채널A] 치명상 입은 환자 살리는 ‘스마트
안경
’
채널A
l
2014.10.22
부담도 덜어주기 때문입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심전도 파형과 과거 병력 등도 스마트
안경
으로 보며 응급처치하는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1020/67317427/2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물체를 크게 볼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원리를 이용해 만든 것이
안경
이나 돋보기다. 이런
안경
에 해당하는 과학용 관찰장비로는 ‘광학현미경’이 있다. 하지만 빛이 휘어지는데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아무리 고성능 광학현미경이라도 200~300nm보다 작아지면 정확한 영상을 보기 어렵다. 연구팀은 ... ...
화이트 그래핀 위에 그래핀 쌓았더니…
2014.09.12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처음 발견해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으며 일약 스타덤에 오른 맨체스터대 교수가 새로운 그래핀 논문 2 ... 코팅하자 극한 조건에서도 코팅이 벗겨지지 않고 유지됐다. 그래핀옥시드는 무색투명해
안경
렌즈 코팅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