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548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 모니터링, 약물 전달을 한 번에…'만능 스마트 패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가능한 스마트 패치를 개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장경인 로봇및기계
전자
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실시간으로 생체신호 모니터링과 약물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패치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개발된 스마트 패치는 접이식 구조를 활용해 다양한 센서와 약물 전달 시스템을 하나로 ... ...
[과기원NOW] 포스텍, 복털조개에서 강력한 접착력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커뮤니케이션스'에 최근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회준 로봇 및 기계
전자
공학과 교수 남덴마크대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움직임과 압력으로 전기와 빛을 동시에 생성하는 자가발전 센서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고무와 같은 재질(PDMS)에 빛을 내는 황화아연-구리 ... ...
원전 상시검사 확대·체코 원전수출 지원…원안위 업무계획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감시하기 위해 국내 유입 거점인 대만과 정보 공유 체계를 확립한다. 또 지난해 삼성
전자
기흥사업장에서 발생한 방사선 피폭사고를 계기로 근무 환경에서 방사선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방사선 관련 신고기관의 안전 관리 체계를 개선한다. 신고기관이 보유한 장비현황, 안전관리자 변경 등 ... ...
유튜브 영상을 즉시 입체로…고성능 홀로그램 전환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미디어 프로세서(RHP)를 통해 3차원(3D) 풀컬러 홀로그램이 출력되고 있다. ETRI 제공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 연구팀이 개발한 디지털 홀로그래피 미디어 프로세서(RHP)를 통해 3차원(3D) 풀컬러 홀로그램이 출력되고 있다. ETRI 제공 연구팀은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적용해 홀로그래피 생성을 위한 모든 ... ...
근육에 지방 많으면 말라도 심장병 위험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있다. 연구팀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이 없는 평균 연령 63세 669명을 대상으로 양
전자
단층촬영(PET)과 컴퓨터단층촬영(CT)을 시행해 심장이 얼마나 잘 기능하는지 살폈다. 체성분을 분석하고 몸통 부분의 지방과 근육의 위치 및 양도 측정했다. 근육 내 저장된 지방의 양을 정량화하기 위해 ... ...
전량 수입 의존 투과
전자
현미경 국내 상용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및 평가 기술을 오랜 시간 동안 어렵게 확보했다"면서 "이제 국산 기술로 구현된 투과
전자
현미경을 국내 연구자들에게 경제적인 가격과 맞춤형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뿌듯하다”라고 밝혔다. 전정범 엠크래프츠 대표는 “KBSI와의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 개발 및 지원 노하우를 적극 활용해 ... ...
스마트폰 수천만 대로 그린 우주날씨 지도
과학동아
l
2025.01.18
양이 더 많아지는 것이다. 통신위성과 스마트폰이 신호를 주고받는 시간은 전리층 속
전자
의 양에 영향을 받아 낮시간엔 최대 150나노초(ns·1나노초는 10억분의 1초) 가량의 지연을 겪는다. 지연시간을 측정하면 스마트폰 사용자 머리 위로 태양풍이 얼마나 많이 부는지 알 수 있다. 나아가 수십, ... ...
인도, 우주 도킹 실험 성공…미국·러시아·중국 이어 네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성공한 것이다. 도킹된 우주선은 전력 전송을 시연할 예정이다. 각 위성은 우주에서
전자
및 양성자 방사선을 측정하도록 설계된 이미지 처리 기기와 방사선 측정 장치를 싣고 있다. 실험을 주도한 ISRO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인공위성 도킹 기술은 인도의 달 탐사 임무를 위한 필수적 ... ...
스스로 학습하고 오류 수정하는 뇌 닮은 뉴로모픽 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모방해 설계된 뉴로모픽 반도체가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컴퓨팅 칩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 이미지(왼쪽)와 실시간 AI 작업 구현을 위해 개발된 하드웨어 시스템. KAIST 제공 연구팀은 '멤리스터(memristor)'라는 차세대 뉴로모픽 소자를 핵심으로 활용해 즉각적인 환경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는 ... ...
AI로 두 현미경 합쳐 고해상도 세포 이미지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수준에서 질병 모델을 분석하는 연구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김철홍
전자
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장진아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기존 영상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