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계열"(으)로 총 3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2019.04.09
- 2015년 백내장 증상을 개선하는 물질을 발견했다는 논문이 두 편 발표됐다. 스테롤(sterol) 계열의 분자가 수정체에 침착된 단백질 덩어리를 녹여낼 수 있다는 것이다.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스테롤이 수정체 세포에 있는 샤프롱 단백질을 활성화시켜 단백질 덩어리를 녹여내는 것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 화려한 향을 자랑한다). 차나무에는 폴리페놀인 카테킨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SCPL 계열의 유전자가 22개나 있어 11개인 포도의 두 배에 이르렀다. 카테킨으로 불리는 화합물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차에는 ECG와 EGCG가 80%에 이른다. 그런데 이들 분자를 만드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들은 잎싹과 ...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③사회주의식 우주개발 벗어나 국제협력 나선 러 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2018.10.28
- ‘엔진’만을 전문으로 개발하고 판매하는 기업이다. 특히 이 회사가 개발한 ‘RD’ 계열 엔진의 성능이 뛰어나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RD-151이라는 액체엔진이 한국의 나로호에 장착됐고, 이와 거의 같은 RD-191이 러시아의 차세대 발사체 ‘앙가라’에 적용될 예정이다. 로켓 엔진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2018.07.31
- androstenone)은 정자에서 발현되는 후각수용체 OR4D1이 인식하고 푸라논(furanone) 계열 분자는 OR7A5에 달라붙었다. 즉 정자에서 발현되는 후각수용체의 상당수는 질 내 ‘냄새’ 정보를 담당해 정자의 활동성을 결정하고 그 결과 수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수정이 일어나려는 찰라를 포착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특성을 유지하고 일부는 잃어버려 평범한 단세포생물이 된 것 아닐까. 반면 동물 계열로 진화한 쪽은 단순한 세포 무리를 넘어 기능이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세포가 분화하는 전략을 발전시켰을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필요한 유전자의 대부분을 기존에 지니고 있는 유전자를 재활용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널리 사랑받은 품종이다. 피스의 등장으로 하이브리드 티 장미는 현대장미를 대표하는 계열로 자리 잡았다. - 위키피디아 제공 라 프랑스 = 프랑스장미 +다마스크장미 +월계화(두 품종) 학술지 ‘네이처 유전학’ 4월 30일자 온라인판에는 현대장미의 탄생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월계화 올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DNA 분석 결과는 오늘날 늑대와 개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따라서 이 계열은 멸종했을 가능성이 크다) 잠정적으로 늑대개라고 부른 것이다. 개와의 협력이 현생인류의 성공에 중요했다는 가설을 담고 있는 ‘침입종 인간’이 최근 번역출간됐다. 2015년 출간된 원서의 표지로 개가 늑대처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중국의 약초 가운데는 식물분류학적으로는 별 관계가 없더라도 생김새가 비슷해 같은 계열의 이름을 갖게 돼 혼용될 가능성이 늘 있다. 참고로 방기는 관절통, 수족경련, 중풍, 부종 등 여러 증상에 대해 쓰였다. 아마도 벨기에의 자연요법의사가 한방기가 살을 빼는 효과가 있다는 얘기를 듣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지역에서 번야바이러스의 하나가 새로운 바이러스종으로 틀을 잡은 뒤 A, B, C, D 네 가지 계열로 진화했고 이 가운데 저우산군도로 건너간 게 E형으로 진화했다고 추정했다. 그리고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한반도로 A형과 D형이 건너갔고 저우산군도에서 제주도, 일본으로 E형이 퍼졌다는 시나리오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세 갈래로 갈라진 개체와 함께 하트 모양의 둥그스름한 개체도 있었다. 꽃의 색이야 같은 계열의 색소(아마도 안토시아닌일 것이다)라도 분자의 디테일 차이나 농도에 따라 자주색에서 파란색 범위로 분포할 수 있겠지만 잎의 생김새 차이는 좀 더 본질적이라고 느껴졌다. 문득 나팔꽃도 일종의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