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상자
당첨자
수상작품
입상작품
계관 시인
스페셜
"
수상자
"(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 수상도 준비를 해야
2020.10.14
반드시 연구개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책임자가 되어야 할 이유도 없다. 노벨상
수상자
가 배출된 이후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노벨상이 우리의 최종 목표일 수도 없다.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동 번영을 위해 함께 나누어야 하는 공동의 지적 재산이다. 인간과 자연을 이해기 위해 필요한 ... ...
블랙홀 빨려든 별, 국수처럼 늘어났다가 초속 1만km로 흩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나오는 과정이 처음으로 온전히 관측을 통해 밝혀졌다. ESO 제공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를 배출한 연구 대상인 블랙홀은 극단적으로 강력한 중력을 지닌 특이한 천체다. 워낙 중력이 강하다 보니 블랙홀 근처에 존재하는 별은 블랙홀을 향해 빨려 들어가다가 블랙홀의 바깥 경계인 사건지평선을 ... ...
[오늘의 뉴스픽]노벨상을 둘러싼 망조 같은 동상이몽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것 같습니다. 사실 적지 않은 노벨상
수상자
들이, 또 수상 후보에 올랐던 과학자들마저
수상자
발표 전후로 연구자로 사는 삶이 크게 흔들린다는 말들을 실제로 합니다. 국민에게 먼 미래라도 노벨상에 대한 희망과 기대감을 심어주고, 또 과학자가 주목받을 일이 없는 시대에 과학자의 입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전문가 중 한 명인 비르기니우스 식스니스 리투아니아 빌니우스대 교수는 이번 노벨상
수상자
명단에서 빠졌다. 빌니우스대 제공 이 두 사람을 포함해 유전자가위 연구에 기여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유전자가위 기술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유전자가위 기술의 발전으로, 인류는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재조명되면서 2018년 미국 카블리재단이 수여하는 과학상인 카블리상 나노과학분야
수상자
에 세 명이 나란히 포함됐다. 하지만 2년 뒤 노벨상에서는 식스니스 교수가 다시 빠졌다. 1세대 유전자가위를 고안해 유전자가위를 게놈 교정에 쓸 수 있도록 한 선구적 연구자들도 노벨상 수상 자격이 ... ...
[과학게시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국가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연구데이터' 공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밝혔다. 이번 기념식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를 위해 김종열 원장 및 대표 포상
수상자
등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기념식에서는 뛰어난 업무성과로 연구원 발전에 기여한 임직원에 대한 시상식이 개최됐다. 김종열 원장은 기념사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으로서 자부심과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제공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7일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
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52)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와 제니퍼 다우드나(56)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이라는 유전자 기술의 가장 ... ...
노벨 화학상 수상한 50대 여성 화학자들, 그들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두 교수는 노벨상 역사상 6번째와 7번째 여성 화학상
수상자
가 됐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1968년 프랑스 쥐비시쉬르오르주에서 태어났다. 1992년 프랑스 피에르마리퀴리대에서 생화학과 유전학 학사 학위를 받고 1995년 파스퇴르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 ... ...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와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도 포함되며
수상자
로 선정되지 못한 권위자인 펑장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교수와 한국의 김진수 서울대 교수도 얽혀 있다. 다우드나 교수는 UC버클리, 펑장 교수는 브로드연구소 측이었다. 2014년부터 이뤄진 특허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박사학위를 받았다. 크리스퍼를 개발한 공로로 톰슨로이터가 선정한 ‘2015 노벨 화학상
수상자
예측’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2014년에는 독일 정부가 5년 동안 500만 달러(약 57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알렉산더 훔볼트 교수상’도 수상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대학원 시절을 포함해 2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