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공학"(으)로 총 4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종 코로나, 고의적으로 만들었나" 의사SNS 달군 印논문 …전문가들 "가능성 희박" 2020.02.03
- 바이오아카이브 화면 캡처 중국 우한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소문이 일부 소셜네크워크서비스(SNS)를 타고 확산하고 있다. 중국의 한 연구소에서 생물무기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개발했으며 알 수 없는 이유로 유출되면서 규모 확산사태로 번졌다는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0.01.17
- 유튜브 화면 캡처 "눈을 보면 우리 몸과 정신, 신경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선천적인 장애나 독소 침착 여부, 세포 조직 완전성, 면역계 상태 등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홍채에 나타나 있다.", "홍채에서 7~8시 방향에 고리 형태가 나타나 있으면 간이 나쁘다는 뜻이다.", "동공 주변에 구멍이 난 듯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2020.01.03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큰 규모의 실험실은 젊은 과학자의 훈련에는 안 좋은 환경일 수 있습니다. 박사후연구원과 박사학위 과정 학생은 마치 공장의 노동자처럼 취급받기 일쑤죠… 게다가 큰 실험실은 연구비를 낭비하기 십상입니다. 투입된 연구비당 연구생산량을 계산한다면 더더욱 그렇죠." - ... ...
- 골칫덩이 페트병, 의약·화장품 소재로 바꾼다동아사이언스 l2019.12.24
-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원이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테레프탈산이 갈산, 바닐락산 등 최종 물질로 변환됐는지 확인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대표적 플라스틱인 페트병을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 등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세계적인 환경 문제로 떠오른 플라스틱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시아 최대 유전체 DB 첫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9.12.07
-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5일 전 아시아 지역에 별이 총총 박혀 있는 모습과 이 별들을 분석한 듯한 스펙트럼이 지구를 두르고 있는 이미지를 표지에 실었다. 네이처에는 세계 최다 아시아인 유전체를 분석한 국내 연구진의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5일 아시아 지도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2019.12.03
- 보통 쌀(앞)과 달리 황금쌀(뒤)은 베타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 노란색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황금쌀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뭘 의미하는 것인 줄 알았다면 난 시작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 잉고 포트리쿠스, 황금쌀을 만든 식물유전학자 다양한 유전자변형 식품 중 일부는 공공의 건강에 도움을 줄 ... ...
- [인류와 질병] 몸니, 옷과 함께 진화하다2019.11.16
- 호모 사피엔스 상상도. 출처 MACEDONIAN HISTORIAN 인간과 다른 유인원을 구분해주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바로 체모 감소다. 사실 체모 감소보다는 체모 소설이라는 말이 더 적당하다. 신체의 일부를 제외하면 인간의 몸은 아주 매끈하다. 포유류에서는, 해양 포유류 일부를 제외하면, 상당히 예외적인 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2019.11.07
-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소의 갈등 그리고 노벨상 1975년, 한국 엔지니어회관 개관기념 리셉션에서 기념케이크를 자르는 당시 김종필 국무총리와 최형섭 과학기술처장관의 모습. 연합뉴스 제공 “과학기술처 장관 5년째로 접어들어 나는 그만두기 전에 기초연구를 강화하는 방안, 특히 대학의 연구를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누더기가 된 은하도시의 꿈2019.10.24
-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은하도시 포럼' 홈페이지 메인 화면 “과학 없는 비즈니스, 비즈니스 없는 과학으로는 미래가 없다” -'은하도시포럼'의 모토 중에서 “MB(이명박 전 대통령)는 ‘행정수도 세종시’는 안 된다는 생각이 확고했기 때문에 과학비즈니스벨트로 대체할 생각을 갖고 있었다. 과 ... ...
- "빨지 않는 옷 가능할까?" 노벨상 받은 연구도 이렇게 시작했다동아사이언스 l2019.10.18
- 픽사베이 제공 올해 노벨상 수상자 발표 기간 중 한 장의 사진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됐다. 세포가 저산소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과정을 밝힌 피터 랫클리프 영국 프랜시스 크릭연구소 교수가 1992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보냈다 퇴짜를 맞고 받은 편지 사진이다. 편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