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리받이
틀
판
모형
틀거
바퀴
외륜
스페셜
"
테
"(으)로 총 261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시작이 두렵다! 어른은 월요병, 아이는 새학기증후군
KISTI
l
2014.03.04
줄이고 공부에 집중하라”는 식으로 부담을 주면 역효과만 난다. “작년처럼 잘할
테
니 걱정하지 말라”고 안심시키는 편이 좋다. 잘못을 지적하기보다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이야기를 들어주면서 공감대를 형성해야만 학교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된다. 미취학 아동이나 저학년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의기소침하게 할 정도로 구조가 복잡한 여러 분자를 만들어내는 생명체에서 박
테
리아 화학자들의 일터로 전락했다면,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17일자 온라인판에는 해면의 체면을 살려준 논문이 실렸다. 덴마크와 미국의 연구자들은 해면 실험을 통해 지구에서 동물이 등장하게 된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기계만 만들어 돈을 번 사람은 아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저명한 인류학자 스반
테
패보 박사와 함께 ‘네안데르탈게놈프로젝트’를 계획해 진행했고 2006년 ‘네이처’에 첫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참고로 2010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초안이 발표됐는데 현생인류에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 ...
솔잎이 없으면 송편이 아니다?
KISTI
l
2013.09.12
고추장 담으라고 하고 집안 대청소까지 시켜도 되죠? 아, 그리고 추석 끝난 다음에 아범한
테
명품가방 두 개 사놓으라고 윽박질러도 되죠?” 글 : 김희정 ... ...
천상에서 지상으로, 태양전지의 승리
KOITA
l
2013.07.11
보내서 전원을 교체하든 꽤 번거로워졌을 것이다. 이래서는 유지비나 이용료도 비쌌을
테
고 지금처럼 보편적인 사용은 꿈도 꾸지 못했을 것이다. 우주에서 활약을 한껏 펼친 태양전지는 이제 지상으로 내려왔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효율이 40%를 넘어 50%를 넘나드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유기태양전지 ... ...
기억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KISTI
l
2013.06.24
실제 모델이었던 천재 킴 픽은 1만 2,000여 권의 책을 암기한다고 알려졌다. 영국의 화가
테
판 윌트샤이어는 자폐증을 앓고 있지만 놀라운 기억력을 이용해 도시와 건축물의 모습을 정밀하게 그려낸다. 세계 명 지휘자 ‘로린 마젤’도 천재적인 기억력의 소유자로 유명하다. 그는 어려서부터 악보를 ... ...
적자생존 NO!! 이제 낙(樂)자생존~
KISTI
l
2013.05.02
‘고사상의 웃는 돼지’였다고 하시던데요? 초상집에 가서도 계속 웃고 계셔서 상주한
테
주먹질을 당한 게 한 두 번이 아니라고 하시던데….” “우하하하하~! 너의 말도 안 되는 농담을 들으니 또 다시 웃음이 나는구나. 오~ 콸콸콸 넘쳐나는 나의 엔도르핀이여!!” 관련서적: 『즐거움, 진화가 준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연구결과는 상당히 충격적이었다. 연구를 이끈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 스반
테
패보 박사는 둘 사이에 관련이 없다는 가설을 입증하려고 연구를 시작했는데 허를 찔린 셈이다. 그럼에도 연구결과에 신뢰가 가는 건 네안데르탈인의 흔적이 유럽인과 아시아인에만 있고 아프리카인에서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데이비드 필립스 박사 실험실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당시 필립스 박사팀은 박
테
리아 세포벽을 파괴하는 효소인 라이소자임의 구조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당시까지 구조가 밝혀진 단백질은 미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 둘 뿐이었다. 1965년 마침내 라이소자임의 구조가 규명됐는데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07
적응된 품종은 이런 상황을 견뎌내기 어렵죠. 수많은 병균과 해충, 잡초의 공격을 받을
테
니까요. 하지만 생명공학이 이런 상황을 극복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뿐 아니다. 지난해 세계 인구는 70억 명을 넘어섰고, 앞으로 100억 명이 이상이 될 거라는 예상도 나온다. 식량 수요는 늘지만 ... ...
이전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