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스타일
형식
유형
타입
형님
종류
스페셜
"
형
"(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문가들 "코로나19 돌연변이 발생"…"전파력 더 커지고 독성 아직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진화했으며, 지금까지 사람을 감염시킨 것은 대부분(70%) L
형
이라고 분석했다. L
형
이 S
형
에 비해 훨씬 공격적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연구 결과 하나만 가지고 코로나19가 무섭게 진화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램버트 교수는 "바이러스가 전염성이 커지고 훨씬 ... ...
[강석기의 과학카페]여성이 더 오래 사는 이유
2020.03.10
하는 ACE2 단백질의 유전자는 X염색체에 있다. 그 결과 바이러스가 잘 달라붙는 유전
형
을 지닌 남성은 모든 세포가 바이러스에 취약하지만 여성은 세포의 절반만 영향을 받는다. 위키피디아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국내 15개사,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연구…대부분 초기 단계
연합뉴스
l
2020.03.09
폭풍을 억제하는 신약 물질 개발 추진 - 임상 2, 3상 시험계획서 제출 젬벡스 - C
형
간염바이러스(HCV) GV1001, 에이즈 바이러스(HIV) 전임상,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과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공 jandi@yna.co ... ...
[인류와 질병]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름의 기원
2020.03.07
진화했는지 대략이라도 짐작할 도리가 없는 것이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바이러스를
형
태학적으로 분류하는 것도 이상하다. 의학적으로나 생물학적인 면에서 진화적 계통을 추적하는 것이 훨씬 더 유용하다. 이러한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970년대부터 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ICTV)에서 새로운 ...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발견…전파력·병원성 달라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05
바이러스가 대부분 L
형
이니 L
형
이 훨씬 전파력이 강하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두 유
형
간에 누가 더 전파력이 강한지 독성이 센지 등을 알려면 좀 더 과학적이고 역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中 줄기세포로 코로나19 중증 환자 치료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3
초기에는 항바이러스제와 항생제를 투여해 이 환자를 치료했다. 하지만 오래 전부터 제2
형
당뇨병을 앓고 있었던 만큼 상태가 급격히 나빠졌다. 이미 여러 임상 연구 결과를 통해 당뇨병과 암, 고혈압 등 기저질환자가 코로나19에 훨씬 취약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환자 역시 감염 초기에는 ...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열쇠' 기초연구들이 쌓여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2
해독 결과를 바탕으로 그린 코로나바이러스의 계통도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b
형
베타코로나바이러스 중에서도 박쥐 코로나바이러스 및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가깝다. 하지만 이들에게는 없는 서열이 존재한다. 붉은 별표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스파이크 단백질 중 특이적인 구조와 비슷한 ... ...
[팩트체크]전 세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0.03.01
방식의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분자 클램프는 바이러스성 단백질을 유전적으로 변
형
시켜 코로나바이러스를 모방하게 해 면역반응을 촉진시키는 기술이다. 해외 제약사들은 감염자가 가장 많은 중국과 협력해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영국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는 단백질 기반 ... ...
[표지로 읽는 과학]금속이 카이랄성을 띠는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20.02.29
예를 들면 L
형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수백 배나 단 맛이 나지만, 이것을 거울에 비춘 듯한 D
형
아스파탐은 쓴 맛이 난다. 연구자들은 카이랄 분자의 방향을 구분하기 위해 광학활성을 이용한다.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편광)에 대해 반응하는 성질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 ...
[프리미엄리포트]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바이러스의 진짜 정체
과학동아
l
2020.02.28
번역(trans- lation)이 일어나고, 이렇게 만들어진 스파이크 단백질은 골지체로 이동한 뒤 변
형
(modification)되면서 특정 기능을 하는 단백질의 3차 구조를 만든다. 완성된 단백질은 유전체와 함께 조립돼 숙주세포 밖으로 방출된다. 바이러스 증식이 끝난 것이다. 세포실험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HCoV-HKU1)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