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델피니딘이 이렇게 많은 데도 파란색을 구현할 수 없었던
건
색의 진하기 탓이다. 같은 델피니딘이라도 화학 구조에 따라서 푸른색의 진하기가 달라진다. 파란 국화를 개발한 NARO 연구팀은 이 사실에 주목했다. 자연적으로 푸른색 꽃잎을 가진 나비콩은 액포의 산성도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따라 공간을 다르게 변화시켜 나간다. 연속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위상적인 성질은
건
드리지 않는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리치 흐름을 계속 진행하다 보면 더 이상 흐름을 진행시킬 수 없는 ‘특이점’에 도달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이 개념을 최초로 생각해낸 해밀턴은 특이점 문제를 ... ...
날아가던 새가 야구공에 맞을 확률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비교하기는 힘들지만 두 사
건
모두 평생 또 보기 힘든 진귀한 장면이다. 독자들은 어떤 사
건
이 더 일어나기 힘든 일처럼 보이는가? 독자 나름의 논리로 확률을 구해 보자 ... ...
제58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생생한 뒷이야기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공부할 때 선수들은 2시간 동안 한 문제를 풀기도 해요. 수학 문제를 풀 때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에요. 오랫동안 여러 가지 방향으로 생각하는 훈련을 해보세요. 방금 배운 단원의 내용을 갖고 특정한 유형의 문제만 풀기보다는 어떻게 풀지 고민할 수 있는 문제에 도전하는 게 좋아요. 한 문제씩 ...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했을 때 이전에는 오차율이 15% 안팎이었다면 지금은 5% 안팎으로 확 줄었다. 그 결과
건
선이나 지루성 피부염의 조기 진단 정확도는 80%가 넘는다. 김 연구원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한 1년 동안 무척 초조했다”며 “해결책을 찾지 못한다면 시스템 전체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테그마크 교수가 과연 괴짜이기만 한 걸까? 이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겠지만, 중요한
건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상상력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상상력이 우리에게 새로운 통찰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김 교수는 “다중우주론은 논란이 많지만 ... ...
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된답니다. 그러니까 맥너겟을 여러 상자 사려는데 필요한 개수가 저 숫자 중 하나면 무조
건
몇 개는 남거나 모자르다는 거죠! 과학 박사: 역시 박사님들, 재미있는 수를 많이 알고 계시네요! 이렇게 정수의 재미있는 성질을 찾는 활동을 ‘유희수론’이라고 불러요. ‘읽고 쓰기 수열’로 유명한 존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 전략 클라인 4원군!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솔리테어는 역사가 오래된 만큼 보드판의 모양이 다양해요.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건
세 종류예요. 두 종류는 십자가 모양으로, 페그를 올려놓는 구멍이 33개와 37개예요. 각각 영국과 프랑스에서 주로 즐겨요. 마지막으로 구멍이 15개인 삼각형 보드판이 있어요. 영국식 페그 솔리테어는 구멍이 33개, ... ...
Part 1. [첫 번째 사연] 동물들이 죽고 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알아내기 위해 사체를 다시 확인해 보는 일.돌고래가 수명을 다 채우지 못하고 죽은
건
이번뿐만이 아니에요. 울산시에서는 2012년에 들여온 지 몇 달 안 된 돌고래가 죽었고, 갓 태어난 새끼가 며칠을 버티지 못하고 죽기도 했지요.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가 올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990년 이후 ... ...
Part 2. 5人 5色 인터뷰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됐다. 아들은 겨우 생후 20개월. 어린 아들의
건
강이 염려됐지만, 자리를 쉬이 포기할 수는 없었다. 서둘러 아이를 부산 부모님 댁에 맡기고 돌아왔다. 그러다 둘째를 임신했고, 결국 2011년 10월 말 일을 그만두고 귀국했다. 한국은 오히려 아이 맡길 곳을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