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따라 공간을 다르게 변화시켜 나간다. 연속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위상적인 성질은
건
드리지 않는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리치 흐름을 계속 진행하다 보면 더 이상 흐름을 진행시킬 수 없는 ‘특이점’에 도달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이 개념을 최초로 생각해낸 해밀턴은 특이점 문제를 ... ...
날아가던 새가 야구공에 맞을 확률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비교하기는 힘들지만 두 사
건
모두 평생 또 보기 힘든 진귀한 장면이다. 독자들은 어떤 사
건
이 더 일어나기 힘든 일처럼 보이는가? 독자 나름의 논리로 확률을 구해 보자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박사님들. 가만, 아까 맥너겟을 10상자나 드셨잖아요! MC 유: 다들 벌써 배가 꺼진
건
가요. 맥너겟을 먹은지 30분도 안 된 것 같은데요! 잡학 박사: 쩝쩝. 그게 아닙니다. 맥너겟을 먹고 나서 속이 느글느글했는데, 김치를 보니 반가워서요. 느끼함을 없애는 데 역시 한국 전통 음식 김치가 최고죠.MC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 전략 클라인 4원군!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솔리테어는 역사가 오래된 만큼 보드판의 모양이 다양해요.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건
세 종류예요. 두 종류는 십자가 모양으로, 페그를 올려놓는 구멍이 33개와 37개예요. 각각 영국과 프랑스에서 주로 즐겨요. 마지막으로 구멍이 15개인 삼각형 보드판이 있어요. 영국식 페그 솔리테어는 구멍이 33개, ... ...
[Culture] 센서티브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나온 퇴직금이 적지는 않았거든. 아무도 없는 한밤중이라도 조금만 노력하면 이
건
물 안에 들어가는 것쯤이야 일도 아니지. 내가 여기 있다는 걸 저 둔감한 센서들이 알 리가 없으니까. 폭탄을 사서 가방 안에 넣어두고, 나는 네 방에서 『투명인간』 한 권을 꺼내 처음부터 끝까지 읽었단다. ... ...
Intro. 울타리 없애고 가상현실로 만나고~! 동물원은 변신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동물들의 상담 신청이 끊이지 않고 있어요. 도대체 동물원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
지 사연 신청자들을 모시고 이야길 들어볼까요?잠깐~! 저기 있는 밀웜 한 마리 먼저 먹고 시작해도 될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울타리 없애고 가상현실로 만나고~! 동물원은 변신중Part 1. [첫 번째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말했다. “‘과학자 언니’ 보며 동기 부여”사실 여성 연구책임자가 적은
건
애초에 이 분야로 여학생이 적게 유입되는 탓이기도 하다. 그 이유 가운데 하나로 롤모델 부족이 꼽힌다. 어떤 직업에 대한 롤모델의 존재는 학생들의 직업 선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중·고등학생에게 큰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선임연구원은 “과학기술 연구자로서가 아니라 대한민국 ‘워킹맘’으로 원하는
건
비슷하다”고 말했다. 박 선임연구원은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렵게 만드는 가장 큰 문제로 구시대적인 조직 문화를 꼽았다. 늦게까지 야근해야만 열심히 한다고 보는 인식, 출산·육아 휴직 등 있는 제도조차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델피니딘이 이렇게 많은 데도 파란색을 구현할 수 없었던
건
색의 진하기 탓이다. 같은 델피니딘이라도 화학 구조에 따라서 푸른색의 진하기가 달라진다. 파란 국화를 개발한 NARO 연구팀은 이 사실에 주목했다. 자연적으로 푸른색 꽃잎을 가진 나비콩은 액포의 산성도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테그마크 교수가 과연 괴짜이기만 한 걸까? 이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겠지만, 중요한
건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상상력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상상력이 우리에게 새로운 통찰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김 교수는 “다중우주론은 논란이 많지만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