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여겨졌다.1920년 12월 13일 과학자들이 미국 윌슨산천문대의 100인치 망원경으로 최초로
측정
한 베텔기우스의 각지름은 0.044"였다. (보통 별의 겉보기 크기는 천구를 360°로 나눈 각도인 각지름으로 나타낸다. 달의 각지름은 0.5°다) 실제로 베텔기우스의 크기는 0.034"에서 0.054"까지 변한다.그럼 태양을 ... ...
PART2 3R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세포를 배양한 뒤 여기에 시험물질을 반응시켜 세포에서 분비되는 효소나 대사산물을
측정
하는 것이다. 미국 국립보건원은 최근 갓난아기의 포피를 배양해 인공피부를 만들어 동물실험을 대신하는 방법을 개발했다.세포로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없을 때는 동물의 조직을 배양해 실험에 사용한다.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이미 발사 과정에 우주선 안에서
측정
기기로 안압을 몇 차례
측정
했다. 또 24시간 심전도
측정
장치가 심장박동을 계속 재고 있다. 우주에서 일어나는 신체변화를 기록하는 과정이다.사실 1주일간 18가지 실험을 해야 하는 빡빡한 스케줄이 숨쉴 틈 없이 돌아가게 된다. ISS에 거주하고 있는 우주인들과 ... ...
가마와 벽화에 남은 자기장의 흔적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지구 자기장 방향을 알아내기 위해 고고학자는 먼저 현재의 수평면과 북극 방향을
측정
한다. 그리고 가마의 벽에 남겨진 자연산 나침반의 방향으로 가마를 사용했던 당시의 지구 자기장 방향을 알아낸다. 가마의 나이를 방사성탄소동위원소를 사용해 계산하면 구체적으로 몇 년 전 지구 자기장의 ... ...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한국 전통음식 테스트 얼굴 형태 변화
측정
교육실험 물이 어는 과정 관찰 물체의 운동 양상 관찰 물방울 형태 변화 관찰 우주용 펜 테스트 식물 성장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물질이 주로 핵과 원반에서 관찰되는데 비해, 별들이 은하핵 주변을 회전하는 속도를
측정
하면 ‘헤일로’라는 은하 외곽부에도 눈에 보이지 않지만 상당한 질량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암흑물질이다.많은 과학자들은 암흑물질의 후보로 보통 물질과 다른 ‘별난 입자’(exotic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얼빡이, 대빡이, 마빡이 동작을 각각 10분간 취하며 산소섭취량과 심박수의 변화를
측정
했다.각 동작이 끝나고 휴식을 취해 평상시 산소섭취량과 심박수를 완전히 회복한 뒤 다음 동작을 실시했다.가장 쉬워 보이는 갈빡이 동작은 역시 힘들지 않았다. 83회에서 시작한 심박수는 10분이 지나도록 10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 띠스펙트럼 · 연속스펙트럼 등으로 분류된다방출스펙트럼의 파장 · 세기를
측정
함으로써 원자구조나 분자구조의 해석, 발광분광분석, 천체 또는 방전플라즈마의 계측 등을 할 수 있다약 4질량백분율까지의 규소(Si)를 함유하는 규소강은 변압기 · 발전기 · 전동기의 자심(磁心) 재료로서 가장 ... ...
라식수술 부작용 줄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흑체)가 흡수할 때 올라간 온도를 재는 원리로 레이저의 출력을 0.01%의 오차까지
측정
한다. 흑체의 온도가 낮을수록 정확해 액체헬륨으로 -260℃ 이하에서 작동시킨다.아무리 좋은 레이저장비라도 오래 쓰면 레이저의 본래 기능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레이저의 국내 표준을 잡는 일이 중요한 이유다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비둘기보다 훨씬 뛰어난 기억력을 갖고 있어 3년 이상 실험을 했지만 기억력의 한계를
측정
하지 못했다. 두 동물 모두 연구팀의 예상보다 기억능력이 매우 뛰어났으나 두 동물이 그림에 반응하는 방식과 기억하는 양은 달랐다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