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5,626건 검색되었습니다.
쌀알 반만 한 뇌 조각으로 만든 고해상도 '3D 뇌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분석하고 고해상도 이미지로 재구성했다. 뇌 조각의 3차원 구조를 포함한 연구
결과
는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인간의 뇌는 매우 복잡한 기관으로 현재까지 신경 회로를 포함한 세포 미세 구조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특히 뇌의 신경 회로 손상은 수많은 뇌 질환의 ... ...
원안위 "14개 원전 수소제거장치 성능 미달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압력-온도 제한은 32 EFPY 이후 적용 가능한 기준이 없다. 원안위는 KINS 평가
결과
를 반영해 48 EFPY까지 적용 가능한 새 압력-온도 제한 곡선을 심의·의결했다. ... ...
"디지털로 사망자 재창조한 '데드봇'이 오히려 고통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데드봇은 초기에 작별인사를 할 기회를 제공하거나 위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연구팀은
결과
적으로 사용자가 ’감정적 무게‘에 압도될 수 있으며 데드봇과의 ’감정적 유대감‘으로 점점 서비스를 끊기 어려워질 수 있다고 분했다. 연구팀은 “데드봇은 윤리적인 지뢰지대”라며 “사용자는 ... ...
게임 중독도 뇌 질환…전자약으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따라 하루 30분 2주간 자가치료를 진행했다. 그
결과
치료군은 대조군 대비 긍정적인
결과
가 나타났다. 치료 전후 촬영한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 영상에서 치료군은 전대상피질과 배외측 전전두엽 피질 사이의 연결성이 증가했고 자기조절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중독 대상에 대한 반응을 ... ...
"두꺼비가 내뿜는 독, 우울감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연구를 이끈 오드리 워렌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과대 연구원은 "누군가가 우리 연구
결과
를 사용해 인간을 위한 새로운 항우울제를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길 바란다"면서도 "치료제로 만들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두꺼비에서 유래한 화합물은 환각 효과라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 ...
인삼·마늘 기능성 성분, 온라인으로 식품 분석 의뢰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성분을 비롯한 식품 성분을 분석받고 싶다면 온라인으로 의뢰 가능하다. 분석 접수부터
결과
통보까지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식품산업연구본부 식품분석연구센터가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단백질·비타민·병원성 미생물 등 다양한 식품 성분 분석 의뢰를 온라인으로 받아 ... ...
엎친 데 덮친 격…"폭설·폭우가 지진 유발?"
2024.05.09
전달되는 속도 관측 데이터와 계절별 강수량에 따른 공극 수압 모델을 겹쳐서 살펴본
결과
강우량과 다른 기후 조건만 고려했을 때보다 강설량 데이터, 특히 폭설이 있을 때 모델과 관측치 간 적합도가 더 높았다. 노토반도 주민들이 겪고 있는 군발 지진은 부분적으로 계절적 강수량, 특히 폭설로 ... ...
위암 주요 원인 '헬리코박터균' 빛으로 공격해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유도해 위 내 체류시간을 늘렸다. 연구팀이 이 광감각제를 실제 실험쥐로 실험한
결과
위 내에서 장시간 체류하면서 평균 98.7%의 제균 효과를 보였다. 나 교수는 “광역학치료제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헬리코박터균을 효과적으로 제균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의약품의 내성으로 인해 치료에 ... ...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앞당기는 '데이터 렌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잡신호(노이즈)의 경계선을 직접 설정해야 했다. 분석하는 사람의 주관이 개입되어
결과
에 편차가 있고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수학적 방법론인 '랜덤 행렬 이론'을 이용해 사용자의 주관적 선택 없이 전사체 분석 데이터에서 신호와 노이즈를 구별하는 프로그램 'scLENS'를 ... ...
"생물 다양성 손실이 감염병 증가의 주범"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1497개의 숙주-기생충(박테리아, 바이러스 등 모든 감염원을 포함) 조합이 포함됐다. 조사
결과
생물다양성 손실, 화학적 오염, 기후변화, 외래종 유입은 감염병 발생 증가와 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인간 활동으로 생물다양성 손실이 일어난 영향으로 감염병 발생이 무려 857%나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