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의 스승은 누구? 첨단 인공지능 뒤에 묵묵히 일하는 사람들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4
않은 아이의 얼굴을 예측하는 걸까? 인공지능은 갓 태어난 아기와 비슷하다.
뇌
가 발달해 있지만, 아직 어떤 것이 사람이고, 어떤 것이 자동차인지 알지 못한다. 아기는 세 살까지 수억 개의 이미지를 보고, 부모가 ‘저게 자동차야’라고 수백 번을 알려줘야 비로소 ‘둥그런 바퀴가 네 개 ... ...
공포와 공격성 나타내는 신경회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06.14
일으키는 ‘내측 전두엽’이 활성화한다. 실험결과 쥐의
뇌
에서 기저측 편도를 자극하자
뇌
중앙에 있는 ‘배측 중심선시상(vMT)’이 활성화됐고, 내측 전두엽을 자극하자 ‘재결합핵’이 활성화됐다. 공포를 느끼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신경회로가 밝혀진 셈이다. 연구팀은 실제로 ... ...
선거 이후...결과 스트레스 이겨내야
과학동아
l
2018.06.13
촉진시킬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지만 정치적 사안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두
뇌
가 완충 효과를 보여준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출처 : 과학동아 2018년 6월호 ※ 편집자주. 4년마다 치러지는 전국 동시 지방선거는 삶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우리의 삶을 바꾸는 중요한 ... ...
꿀벌도 이해하는 0의 개념... 0에 대한 궁금증들
2018.06.13
추상적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100만개 미만의 뉴런을 가진
뇌
로 추상적인 0을 감지해낼 수 있다면 인공지능이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때 좀 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및 참고 : http://science.sciencemag.org/content/360/6393/1124 ... ...
뇌
에 붙이는 초박막 생분해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6.12
뇌
에 붙일 수 있을 정도로 얇은 생분해성 바이오센서”라며 “외상성
뇌
출혈 등 다양한
뇌
질환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7일자에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될까. 이 경우 밤 11시에는 카페인 70(10+20+40)이 남는다. 밤 11시에 아데노신이 130임에도
뇌
는 카페인의 방해로 수면압력을 60으로 측정한다. 생체시계 각성도 30을 고려하면 수면욕구는 불과 30이다! 도저히 잠이 안 와 뒤척거리다 2시가 됐고 아데노신은 160까지 치솟았다. 카페인 수치가 50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침팬지보다 인간의
뇌
가 3배 더 큰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6.10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강렬한 눈빛을 가진 수컷 보르네오오랑우탄이 차지했다. ‘거대한 유인원의 게놈들’이라는 표지 제목이 눈에 띈 ... 때 오히려 그 기능이 발달된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특정 기능을 잃어버림으로써 오히려 인간의
뇌
가 더 커졌다”고 밝혔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주먹도끼의 반격...인간은 힘 합쳐 자연과 싸우며 진화했다
2018.06.10
실린 연구에 의하면, 생태학적 압력에 대한 개별적 적응과 집단적 적응이 인간의
뇌
와 신체 진화의 90%를 설명할 수 있었다. - nature 제공 요약하면 인간의 몸과 마음은 약 90%가 자연과 싸우는 과정에서 빚어진 것입니다. 60%는 혼자서, 30%는 힘을 합쳐 싸우며 진화했죠. 고작 10% 만이 다른 집단과 ... ...
사람
뇌
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현재 인간이 다른 모든 동물과 다 ... 향후 이 유전자군이 생겼을 때 고대 인류가 겪은 사회와 자연 환경 등을 연계해 추적하면
뇌
크기가 커진 이유를 밝힐 수 있으리라 전망하는 이유다 ... ...
머리 큰 인류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2018.06.08
유인원보다도 세 배나 큰 인류의
뇌
. 이유가 뭘까? - 사진 제공 시카고대 인간의 아기는 생후 백일이 지나도 고개를 제대로 가누지 못한다. 몸집에 ... 습득 교육 등) 문명의 도움도 컸다”고 지적했다. 문명이
뇌
를 작게만 만드는 게 아닌 만큼
뇌
크기의 미래를 예측하기란 힘들다는 뜻이다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