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07
천구 북극 근처에서 가장 밝은 별(북극성)이 될 것이다 .1850년에 천체사진에 찍힌
최초
의 별이며 첫 분광 사진관측이 이루어진 별이기도 하다. 베가으 ㅣ북동쪽에 있는 엡실론(ε)별은 더블 더블(Double Dable)로 불리는 유명한 쌍성계로 목성 지름의 5배 정도인 2백8초 떨어져 있다. 각각의 짝을 이루는 4개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07
미국은 독일과학자들이 개발한 육군의 주피터C 로켓(레드스톤을 개량한 것)을 이용해
최초
의 인공위성을 쏠 수밖에 없었다. 캘리포니아대학 소속의 제트추진연구소(JPL)가 만든 익스플로러 1호는 1958년 1월 31일 지구궤도에 올랐다. 익스플로러 1호의 성과라면 지구 밖에 있는 방사선띠인 밴 앨런대를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07
폰 브라운(1912-1977)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왔다. 미국이
최초
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최초
의 액체산소-액체수소 로켓인 센토를 개발한데는 그의 공이 크다.에리케가 세운 ‘5단계 달기지 개발계획’은 달궤도에 무인궤도선을 두고 무인착륙선을 이용해 달자원을 조사하는 1단계, 달의 저궤도에 ... ...
유전자 혁명과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07
20세기의 허리를 싹둑 잘라냈던 2차대전이 끝나자 이데올로기를 압세운 냉전이 다시 똬리를 튼다. 공교롭게도 동서냉전의 최전선은 한국. ... 자아내고 있다. 그러나 이 슬픔을 아는지 모르는지 과학의 수레바퀴는 생명복제의 비밀을 풀고
최초
의 인공위성을 지구궤도에 올려놓으며 굴러간다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07
레이저 시제품을 만들었다. 그러나 휴즈항공사에 근무하던 마이만(1927-)이 그보다 먼저
최초
의 레이저 발진장치를 만들어냈다. 두번째 레이저 발진장치는 벨연구소의 알리 제이반 등이 완성했다. 마침내 현대 문명을 일굴 레이저가 세상에 얼굴을 내민 것이다.타운스 이후 레이저는 여러 명의 노벨상 ... ...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 고통을 유발
과학동아
l
199907
것으로 추정됐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고통의 예견만으로도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최초
로 증명한 것이다. 뇌가 이처럼 기능한다는 사실은 인간이 고통을 미리 피하려 한다는 진화적인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고통스런 경험에 대해 뇌가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의 몸을 준비상태로 만드는지에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07
어떤 위험이 초래되는가 - 몸의 기능 무차별 공격, 심하면 발암 가능성다이옥신의 위험이
최초
로 밝혀진 계기는 1949년 미국 몬산토사의 제초제 제작공장이 폭발한 사건이었다. 당시 제초제에 노출된 노동자들이 오랜 기간 피부병 등으로 고생하자 다이옥신에 대한 독성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 ...
바이러스 신상명세서
과학동아
l
199907
일정기간 동안 바이러스는 ‘여과성 병원체’라 불렸다.바이러스의 모습을 발견한
최초
의 인물은 1935년 미국 과학자 스탠리였다. 그는 담배잎에 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병원체를 추출해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병원체를 순수한 형태로 뽑아보니 단백질과 같은 단순한 고분자물질로만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06
수 없기 때문이었다.④ 또다른 태양계가 있다 - 지구 같은 행성 있을 수도지난 4월초 사상
최초
로 태양과 비슷한 크기의 항성 주위를 돌고 있는 3개의 행성이 이루는 외부행성계가 공식 확인됐다. 입실론 안드로메다 주위에서 목성과 같이 두꺼운 대기층을 지닌 세 개의 행성이 확인된 것이다. 입실론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5. 특허심사관 안소영
과학동아
l
199906
처리하는데 이틀이 걸리므로 하루하루의 삶이 승부사 같다고 한다. “각 건에 관한 한
최초
의 결정을 내린다는 것이 부담스럽다”며 “내 결정이 발명자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의 이익과도 관련되기 때문이다”고 말한다.또 최종적인 결론은 특허법에 기초해야 하므로 법률적 지식이 필요하다.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