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내일의 TV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12인치형의 칼라액정벽걸이TV를 세계최초로 개발하여 85년 오오사카 전자쇼에서
공개
한 바 있다. 이 벽걸이TV는 화면의 유효면적이 1백80 X 2백40mm로서 이 속에 23만4백개의 화소가 들어 있다.한편 85년초에 마쓰시다에서는 매트릭스구동편향(MDS)방식에 의해 역시 두께가 얇은 박형 칼라TV의 개발을 ... ...
소련 수소폭탄의 아버지 안드레이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사실을 알게 되어 고조되었다. 우리는 ‘과학적’이라는 것은 편견이 없다는 전제와
공개
토의와 결론을 두려워 하지 않는 가운데 사실과 이론과 견해를 깊숙히 분석하는데 바탕을 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그런데 러시아와 소련의 과학기술사를 훑어 보면 과학자들의 수난의 역사로 얼룩져 있다. ... ...
역무자동화(AFC) 시스템 자동화 시대의 디딤돌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맞는 기기의 설치가 필요하다 하겠다.프랑스 CGA사는 AFC의 모든 기기들의 노하우를 아직
공개
하고 있지 않다. 예를들어 전산제어부의 오퍼레이팅콘솔의 기능도 그들만이 고유로 사용하고 있는 랭귀지로 프로그래밍했기 때문에 우리가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사용하는데만 ... ...
제주도의 화산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이름지어진 동굴이다. 최근에야 그 내부모습이 사진으로
공개
되었으나 동굴은 아직도 비
공개
로 되어 있다. 석회질의 종유석과 석순은 물론 특히 종유관의 무리가 내려 뻗고 있고 70cm가 넘는 용암종유를 비롯하여 화산동굴지형의 종합전시장으로 평가된다. □소천굴(昭天窟) 총길이 2천9백80m에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여기서 백두산 조류의 연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처음으로 백두산의 조류가
공개
된 것은 이탈리아의 탐험가' 기글릴올리'와 '살바도리'씨가 1880~1881년, 한만(韓滿) 국경일원에서 관찰한 조류를 1887년 영국 런던 동물학회 회보에 보고한 것이 시초이다. 그후 소련의 조류학자, '잔코프스키'는 ... ...
보이지 않는 비행기 스텔드 최초로 모형
공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존재하지 않는'(Does Not Exist) 비행기라고 불리우는 F-19 '스텔드'의 모형이 최초로
공개
됐다. (스텔드의 구체적 내용은 본지 4월호 참조)사진에서 보는 모형은 플라스틱을 재료로해서 이탈리아의 '테스톤'사가 만든것. '스텔드'는 적의 레이다에 잡히지 않는 특수재료와 RSC(레이다 횡단 면적)를 ... ...
스타워즈와 기술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판단되는것만 '톱 시크리트'로 분류, 비밀유지를 하고 나머지는 될 수 있는한
공개
해서 민간업체들이 자유롭게 체택, 이용할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전력생산과 핵융합 앞서 말한 '레일 건'은 재래의 탱크전 수행에 있어서 그리고 요격미사일 체계에서 핵심적인 기술이다. 또한 그것은 핵 융합을 ... ...
차세대 헬리콥터, 10월에 시험비행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제트기와 헬리콥터를 혼합한것 같은 사진의 비행기는 미공군과 NASA와 헬리콥터 메이커 '시콜스키' 사가 공동으로 개발중인 X형 날개 수직이착륙기. 이착륙 때는 X ... 기체가 회전하는 것을 막고있다. 두가지 방식의 비행시험은 오는 10월에 시작되나
공개
비행은 90년대가 되어야 할것같다 ... ...
한국의 원자력 발전은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확보를 위한 독자적인 기술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원전에 관한 제반 정보를
공개
하여 합리적 비판에 바탕을 둔 국민적 합의를 모색하는 것도 시급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 ...
기념관 건축 「졸속은 금물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더 소요됐다. 높이 1백50피트의 이 기념탑이 완공된 것은 1885년이고 그로부터 일반에게
공개
된 것은 3년이 지난 1888년이었다. 장장 1세기에 걸쳐 설계에 관한 국민적인 논쟁을 거친 이 기념관은 완공 후 아무런 하자보수없이 5백 55피트 높이의 하얀대리석을 자랑하며 워싱턴의 역사적 명소가 되었다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