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3 홈PC 기본 소프트웨어 가이드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홈PC는 철저하게 소프트웨어가 중심이 된 개념이다. 사용하기 쉽고 흥미로운 홈PC용 소프트웨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본다.본격적인 형태의 ... 위해 양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어느 정도 여건이 갖추어진다면 양 못지않게 질을
높이
는 데도 노력해 주기를 바라는 맘 간절하다 ... ...
김치·된장, 암 예방에 큰 효과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사용하는 물의 품질이 중요함을 우선적으로 강조한 우리 고전식품학의 수준은
높이
평가돼야 한다. 잘 익었을 때 영양소 가장 풍부한 김치한국을 대표하는 식품기술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서슴없이 식품발효기술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물성 식품을 주식으로 하는 서양의 유목민족들은 우유나 ... ...
물리- 자석힘으로 소금물이 뱅글뱅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떨어뜨리기 준비물구리관 알루미늄관 강력자석실험방법① 강력자석을 일정한
높이
에서 자유낙하시킨다. 이때 자석이 닿는 부분에 부드러운 헝겊같은 것을 놓아 자석이 깨지지 않도록 한다. ② 알루미늄관 속으로 강력자석을 자유 낙하시킨다. ③ 구리관 속으로 강력자석을 자유낙하시킨다 ... ...
사라진 문화재 컴퓨터 그래픽으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경우 변수만 수정하면 얼마든지 새로운 물체를 정의할 수 있다.연구팀은 "6층 건물
높이
의 팔상전은 못을 이용하지 않고 목재에 홈을 파서 목재와 목재를 연결해 그 구조를 지탱하기 때문에 이 기법이 아니면 해결하지 못할 부분이 많았다"고 회고한다.문화재는 형태를 불문하고 건립 시점조차 ... ...
광공해 없는 겨울 은하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관측자료를 얻기 힘들다.12일 금성의 서방최대이각. 금성이 해뜨기 전 동쪽 지평선 가장
높이
떠 있는 때이다. 이 때 금성의 고도는 약 47˚. 13일을 전후로 금성은 지평선에서 점점 높아졌다가 다시 고도가 내려가기 시작한다. 1월 중금성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17일 천왕성의 합. 천왕성이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사실을 심각히 받아들여야 한다. PLS완공으로 모처럼 조성된 기초과학에 대한 인식을
높이
기 위해 방사광가속기 이용률을 최대한 올리고, 한편으로 2,3의 새로운 기초과학프로젝트를 준비해야 할 때다 ... ...
화려한 산개성단 앞세워 황소 힘찬 돌진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두고 사이좋게 서로 밀고 당기며 천천히 행보를 하고 있다. 동쪽 하늘에는 벌써 하늘
높이
떠오르고 있는 마차부자리의 카펠라가 밤하늘을 대표할 만한 산개성단 M36 M37 M38의 호위를 받으며 남쪽하늘의 화려함과 자웅을 겨루려는 듯 아래의 쌍둥이자리를 이끌며 더욱더 밝게 빛나고 있다. 좀더 북쪽의 ... ...
화학 - 삼투현상, 모세관 현상과 다르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부풀어 오르고 팽팽해져 있음이 관찰됐다. 그것을 시험삼아 바늘로 찌르자 그 내용물이
높이
뿜어져 올라왔다. 이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놀레는 거꾸로 물을 넣은 병을 방광막으로 막은 후 알코올 속에 담았다. 그랬더니 방광막이 안쪽으로 움푹 꺼져 들어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는 이러한 관찰을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나타낸 것이며, 등압선에 표시된 숫자는 기압을 나타낸다. 기압의 단위로는 수은 기둥의
높이
인 ㎜Hg를 사용하기도 하나, 일기도에서는 관용적으로 mb를 사용한다. mb와 ㎜Hg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1mb=${10}^{3}$dyne/㎠=0.75㎜Hg여기서 1dyne은 1g의 물체에 작용해 1㎝/${s}^{2}$의 가속도를 낼 수 있는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널려 있는 반면, 보다 고등한 동물에선 희귀한 집단을 이루고 있다. 진화의 사다리에서
높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무성생식하는 종은 줄어든다.왜 더 많은 생물이 무성생식에 의한 클론으로 되돌아가지 않을까? 우리가 이제는 떨쳐 버릴 수 없도록 성의 조작에 너무 깊이 맡겨진 것은 아닐까?실험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