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로필
프로파일
알선
피난
철수
명도
추천
d라이브러리
"
소개
"(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만나러 참 멀리서 오셨네요. 반갑습니다.기자 한국의 독자들에게 박사님의 삶과 업적을
소개
하고자 박사님이 활동하셨던 곳을 둘러볼 생각입니다. 추천해 주실 만한 곳이 있나요?튜링 다 정해 놓고 오셨을 거면서요, 뭘.기자 (머쓱한 웃음)아하하. 먼저 어린 시절에 어떠셨는지부터 궁금합니다. 아주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천체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수수께끼투성이이기는 하지만 앞서
소개
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거대질량 블랙홀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의 결과가 매우 기대된다.[허셜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 거대질량 블랙홀이 지나치게 활발해 많은 에너지를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된다.실험은 쉽지 않았다. 약 8100kg에 달하는 코일 7개에 앞서
소개
한 대형 발전기를 달았다. 그 뒤 모두 여섯 번의 독립된 자기장 발생 실험을 했다. 척 미엘케 펄스장실험동 소장은 “15년에 걸친 집중적인 작업 끝에 거둔 성공”이라고 말했다.이번 실험에서 만든 자기장이 ... ...
과학영재·글로벌 리더 ‘더’ 뽑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2013학년도 UNIST 수시전형은 무엇이 달라지나요. 작년까지 정원내 모집이었던 기회균등 전형이 정원외 모집으로 바뀌면서 전체 모집 인원이 750명에 ...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나타내면 좋습니다. 과학 캠프에 참여한 경험도 자기
소개
서에서 자신의 열정을 드러낼 수 있는 좋은 재료입니다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여기 이 공 하나에 두 나라의 자존심을 걸고 오직 ‘금메달’을 위해 하나가 된 이들을
소개
한 영화가 있다.영화 는 연습 방식, 생활 방식, 말투까지 전혀 다른 남북 선수들이, 남북 분단의 아픔을 ‘탁구’로 극복하는 과정을 그려냈다. 수학을 쏙 빼닮은 탁구를 통해 하나가 되는 이야기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정리’라고 불렸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1734년에 러시아의 한 잡지에 이 정리를
소개
하기도 했다.실용적인 중국의 수학중국에서는 아주 오래 전부터 수학이 발전했다. 기원전 14세기 것으로 생각되는 갑골문자에서 10진법이 발견됐는데, 이는 유럽보다 2300여년 앞선 것이었다. 서양에서는 ... ...
[정보] 부등식,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귀로 들은 내용을 나만의 것으로 소화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소화를 돕는 마법의 주문을
소개
합니다. 수학에게 받은 과거의 상처 때문에 수학이 두렵고, 어려운 친구들이라면 이 주문을 꼭 기억해 두세요. 상처를 가장 빠른 시간에 치료할 수 있는 마법의 주문이거든요. 수학 공부의 순서와 방향을 ... ...
“다이내믹한 활동으로 열정을 드러내”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알고 가는 것이 좋아요.”질문을 유도할 만한 거리를 갖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 자기
소개
서를 쓸 때도 마찬가지다. 질문이 나올 수 있게 쓰면 예상문제를 만들기도 쉽다.김은지 양은 현재 1학년 기초과정을 듣고 있다. UNIST는 입학할 때 학과를 미리 정하는 것이 아니라 무학과로 입학 후 1학년 기초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독자가 지금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까닭은 빛이 있기 때문이다.빛은 초속 30만km의 빠르기로 움직이는 ‘광자’라는 작은 입자로 이뤄져 있다.이 작은 입자의 질량 ... 2배 높여 암흑광자 사냥을 계속할 예정이다. 암흑광자를 발견했다는 소식을 독자들에게
소개
할 수 있는 날을 기다려 본다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배설물 지식이 미국 정보국과 구소련 사이의 화학무기 공방전을 해결했다는 에피소드를
소개
한 직후다. “순수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연구가 어떻게 예상치 않은 유용한 지식을 만들어내는지 분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지만, 사실 이런 경우는 드물지 않다. 왜냐하면 현실 세계의 혜택은 기초 연구에서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