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성당 가우디는 성당 내부 곳곳에 수학의 흔적을 남겼다. 성당 가장 높은 곳의 창문이나
작은
장식도 그냥 지나치는 법이 없었다. 성당 내부 창문은 그의 계획대로 쌍곡포물면을 기초로 만들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가면 가우디의 흔적을 따라 도시를 둘러보는 여행 코스가 있다. 단순히 가우디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분석해 보았어. 그림을 스캔한 뒤 가로세로가 대략 7.4cm 정도가 되게끔 잘랐지. 이 안에는
작은
사각형이 26만 2144개가 들어 있었어. 그리고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해 첫 번째 물감층과 두 번째 물감층에 들어 있는 붓칠을 분석했어. 그랬더니 각 층에는 거칠고 가느다란 붓칠이 여섯 방향으로 뻗어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황금연못’을 만들어주고 있다. 옹달샘은 정수시스템을, 황금연못은 연못형태의
작은
하수처리장을 의미한다. 원리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연못 주변의 자갈로 연못 바닥에 하나의 층을 만들고 그 위에 부들이나 갈대를 심는다. 그럼 끝, 황금연못 완성이다. 자갈 아래까지 자라난 뿌리와 자갈에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물의 어는점을 0 ℃, 끓는점을 100 ℃로 정하고 두 기준사이를 100등분했다. 미국과 몇 개의
작은
나라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가 섭씨온도를 쓴다.하지만 온도에 대한 국제 표준 단위는 섭씨(℃)가 아니라 절대온도로 불리는 켈빈(K)이다. 절대온도가 나온 배경을 알아보자. 과학기술이 발전할수록 0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분이 1이 된다. 큰 입자는 느린 속도로
작은
입자를 만들고
작은
입자들은 빠른 속도로 더
작은
입자들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 설명에 따르면 10m 이상의 직경을 가진 입자는 고리 안에 존재하기 힘들다. Tip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스터리토성은 태양계 행성 가운데 밀도가 가장 낮다. 자전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있으니까요. 그 중 대표적인 게 마이크로RNA(miRNA)예요. miRNA는 핵산 22~23개로 이뤄진 아주
작은
RNA죠. 사람 몸속에 수백 개가 넘어요. 하지만 최근까지도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miRNA가 정말 많아요.그: 그중 노화를 방지하는 miRNA가 있다는 건가요?기: 맞아요! miRNA는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낮추는 역할을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패턴을 보이지만, 중독된 뒤에는 일정한 규칙 없이 혼란스러웠다. 특히 통제계수가
작은
지(통제를 못함) 큰지(통제를 잘 함)에 따라 결과가 매우 달랐다. 배 교수팀은 앞으로 인체와 심리를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한 디지털중독 수학 모형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다. 중독은 청소년에게 특히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둘러싸인 영역을 뜻한다.그런데 부채 모양을 떠올리다보면, 부채꼴의 중심각이 180°보다
작은
경우만 떠올리기 쉽다. 중심각이 180°보다 큰 부채꼴은 우리가 흔히 아는 부채와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새로운 전문 용어로 수학 개념을 정의해 주는 게 더 정확할 때가 있다.스토리텔링 수학,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동물의 망막은 거의 대부분 간상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요. 간상세포는 민감해서 아주
작은
빛 입자인 광자 하나에도 반응해요. 그래서 빛의 양이 적은 밤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요. 그렇지만 해상도가 낮아서 세밀한 부분까지 구별하기는 어렵지요.동물들이 차에 치이는 사고인 로드킬(Road kill ... ...
[수학뉴스] 개미 떼를 이끄는 리더 개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혼자서 과자 부스러기처럼
작은
먹이를 옮기기도 하지만, 여러 마리가 힘을 합쳐 자기 몸보다 훨씬 큰 먹이를 옮기기도 합니다. 여러 개미가 각자 흩어지지 않고 힘을 합쳐 한 방향으로만 먹이를 옮기는 비결은 무엇일까요?최근 이스라엘 바이츠만과학연구소 전문가들은 미치광이 개미 떼에게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