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점
미점
메리트
d라이브러리
"
좋은점
"(으)로 총 3,4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도,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둥근 지구를 평면에 표시한 지도는 몇가지 점에서 주의를 기울여 살펴야 한다. 여러 목적에 두루 맞는 지도란 없기 때문인데….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여러 목적으로 다양한 지도를 사용하고 있다. 어느 국가나 대륙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참고하는 세계지도는 친구집을 찾아 가거나 여행할 때 사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일본이 H2 로켓을 쏘아올림으로써 방송통신위성을 지구정지궤도에 올릴 수 있는 나라는 5개국으로 늘어났다. 이들 '로켓 빅5'는 상업용 인공위성 발사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지난 2월 4일 일본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H2 로켓을 쏘아올렸다. 이로써 일본인 명실상부한 로켓개 ... ...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과 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지속적으로 맑은 콧물과 재채기를 일으키는 귀찮은 증세 알레르기성 비염. 그 원인을 파고 들어가보면 면역체계,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등 엄청나게 복잡한 몸의 메커니즘과 만나게 된다.알레르기 증세는 재채기 정도의 가벼운 자극에서부터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상황으로 발전한 것까지 매우 다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하나의 반짝이는 별을 망원경을 이용하여 두개의 별로 분리해 보았을 때 우주의 신비를 느끼게 된다. 금상첨화로 이 이중성이 알비레오처럼 황금색과 하늘색을 띠고 있다면… 밤하늘의 별 중 반 이상이 이중성이다. 이중성은 먼 하늘 물체처럼 투명도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특별히 관측회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도플러효과를 이용하면 멀리 있는 외부 은하가 우리은하로부터 멀어지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모든 천체가 하나의 점으로 뭉쳐 있었던 시기도 계산이 가능하다.축구장이나 야구장에서 단체응원을 할 때 '파도치기'라는 것이 있다. 끝에서 시작하여 차례대로 일어났다 앉으면 되는데 정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미생물보다 작은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영역을 오가며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감기·AIDS·암 유발의 원인, 바이러스의 정체는 근대에 들어와서야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바이러스(virus)란 용어는 라틴어로 독(poison)이란 뜻이다. 그래서 한문을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바이러스를 '병을 일으키는 ... ...
PART.2 쓸만한 타이틀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막강한 저장능력을 지닌 CD-ROM의 진수를 맛보기 위해서는 '영양가 있는' 정보의 수집이 필수적이다. 국내외에 나와있는 각 분야의 CD-ROM 타이틀에 대해 알아보자.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가 훨씬 중요하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이제 없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하드웨어 중심적 사고는 팽배해 있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자손이 그 부모를 닮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전의 법칙에 대해 과학적 접근을 시도한 선구자 멘델에게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어떻게 개는 자기와 닮은 강아지만 낳고 돼지새끼를 낳을 수 없는가? 어린아이가 태어나면 엄마를 닮았느니, 아빠를 닮았느니 한다. 우리는 어떤 면에서 엄마, 아빠를 닮았 ... ...
하수오물에서 건축자재 뽑아낸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부엌이나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하수오물. 또하나의 도시문제인 이 하수오물들도 기술개발 여하에 따라 귀중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환경문제가 심각성을 더해가는 요즘, 기술개발을 통해 공해를 줄이고 이를 재활용하려는 노력은 전지구적 규모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낙동강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천체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달을 보면 원형의 구덩이들이 보인다. 직경 2백km가 넘는 것 등 달에는 이러한 구덩이가 3천여 개 정도 있다. 아폴로 탐사로 인간이 달에 다녀왔지만 지상에서 보이는 달의 크레이터들은 아직도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천체망원경이나 쌍안경을 구입한 사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