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305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려견 실명 유발 불치병, 유전자 검사로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유전자 돌연변이 보유 여부를 알려주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스탠버리
교수
는 "PRA를 앓는 개가 시력을 잃기 시작하면 치료법이 없어 완전히 실명하게 된다"며 "이제 DNA 검사를 통해 PRA를 가진 강아지가 태어나는 것을 막음으로써 이 질병을 완전히 없앨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가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킨다는 점도 확인했다. 김유식
교수
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정상적 면역 활성 유발 인자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의 형성 및 조절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면역 계통 질환을 비롯해 다양한 ... ...
인종차별 의미 담긴 식물명 2026년부터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될 것으로 보인다. 카프라 삭제를 제안한 기디언 스미스 남아프리카 넬슨만델라대
교수
는 ”인종을 비하하는 식물 명명법을 영구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 것에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해외 연구자들이 60% 이상이 이에 동의한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학명이 문제가 되는 건 ... ...
전공의 독자노선에 올특위 해체 위기…22일부터 전공의 모집 지원 저조 예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올특위 참여도 거부하면서 전공의들끼리는 단일대오의 뜻을 밝히고 있지만 의협 및 의대
교수
와는 엇박자의 길을 걸으며 독자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뒤집어 까자 촉매 효율이 증가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이를 반대로 뒤집은(Inside out) 상황이다. 진롱 공 중국 톈진대 화학공학 및 기술학과
교수
팀은 산화티타늄-니켈 촉매가 반응물과 결합하는 방식을 바꿔 효율적인 프로판 탈수소화 촉매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18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프로필렌은 탄소와 수소로 이뤄진 물질로 ... ...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만들어둔 CBD 추출물을 팔 수도 다른 의약품 연구로 발전시킬 수도 없었다. 김
교수
는 "한국의 고농도 CBD 추출기술은 해외 어느 곳보다도 높은 수준"이라며 "해외에서 CBD 추출물을 구매하겠다고 해도 한국의 규제로 인해 팔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 마리화나와 의료용 헴프, 나라마다 ... ...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착용해도 재채기 소리 들리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20
않아도 AI가 제대로 분리해 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시암골라코타
교수
는 "앞으로 보청기에도 해당 시스템을적용해 보청기 착용자들이 듣고 싶은 사람의 목소리만 크게 들을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7월 15일, [통합과학교과서] ...
[표지로 읽는 과학] 공룡시대 전 '변기 모양 머리' 포식자 번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7.20
이미지가 실렸다. 클라우디아 마르시카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 지질학과
교수
연구팀은 네이처 이번 주 발행호에서 가이아시아 화석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척추동물들의 공통 조상에 대한 단서를 얻고 진화 공백을 메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룡이 지구를 지배한 ... ...
빵 먹으면서 천식 예방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20
연구팀은 새로운 빵이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는지 시험할 계획입니다. 보르헤스
교수
는 “빵은 어린이를 포함해 거의 모든 사람이 먹는 식품”이라며 “천식을 예방하는 데 널리 활용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7월 15일, [과학뉴스] 빵 먹으면서 천식 예방하기! ... ...
하늘에 구멍 뚫린 듯한 극한호우, 대응책은 있을까
2024.07.19
함께 포츠담 광장을 설계한 허버트 드라이자이틀 싱가포르 국립대 디자인 및 환경공학과
교수
는 "그린 인프라는 홍수와 같은 기후재난의 완충재 역할을 한다"며 "인구가 도시에 집중된 아시아에서 필요성이 특히 클 것"이라고 조언했다. ● 베를린이 내놓은 극한호우 해법, '그린 인프라'에 대해 더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