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846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걸리면 뇌졸중 걸리기 쉽다는데, 도대체 왜?
과학동아
l
2014.04.09
않도록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에 주목했다. DNA가 훼손된 돌연변이 세포는 암을
억제
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p53 단백질’이 자살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결과 뇌와 신경세포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신경세포의 수명 역시 비정상적으로 짧아진 것이다. 정상적으로 발달한 뇌(위)와 ... ...
노화 막고 암도 잡고? 전천후 단백질 등장
과학동아
l
2014.04.09
확인했다. 권 교수는 "NAD를 조절하는 약물은 암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과정만 골라
억제
할 수 있어 부작용이 적다"며 "향후 신개념 항암제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대장암 유발 세포가 대장암
억제
?!
과학동아
l
2014.04.01
“이전까지 윈트 신호전달체계는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항암치료에서 항상
억제
해야 할 대상이었다”며 “반대로 이 신호체계가 항암 메커니즘에도 관여함이 밝혀진 만큼 향후 항암 치료제 연구의 방향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셀’ 자매지인 ‘셀 ... ...
벚꽃아, 이번주만 버텨다오
과학동아
l
2014.03.31
평소 이 복합체는 개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달라붙어 발현을 방해하고 결국 개화도
억제
하는데, 기온이 올라가면 SVP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복합체가 깨지는 것이다. 복합체의 양이 줄어들면 식물의 생장축에서 세포를 증식하는 정단분열조직이 개화 지시를 내려 꽃이 피게 된다. 안지훈 ... ...
유방암 사망자, 선진국만 줄었다
과학동아
l
2014.03.30
만드는 단백질에 주목하고 있다. 그는 “이들의 기능을 밝힌다면 유방암이 발생하거나
억제
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는 전망 섹션을 통해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미래 통신 암호체계로 각광받는 양자암호화의 현재와 미래를 점검했다. ... ...
내성 걱정없이 슈퍼박테리아 없애는 방법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7
GSK5182를 살모넬라에 감염된 생쥐에 투여했다. 그 결과, GSK5182의 영향으로 ERRγ 발현이
억제
되면서 대식세포내 철 함유량도 줄어, 살모넬라균 증식도 눈에 띄게 감소했다. 이에 따라 살모넬라균 감염 생쥐의 생존율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흥식 교수는 “세균 감염과 증식에 필요한 ... ...
전자담배, 금연에 효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3.26
담배를 끊으려는 이들이 많이 찾는 ‘전자담배’는 형태만 바꾼 담배이기 때문에 금연에 하등 도움이 되질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 “전자담배는 건강에 치명적인 담배를 안전한 대체물로 바꿔줌으로써 질병과 사망을
억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 ...
우유속 단백질로 화재 막는다
과학동아
l
2014.03.16
알론기 박사는 “카제인이 직물 위에 숯과 같은 층을 형성해 연소 반응을
억제
시켰을 뿐 아니라 독성 가스도 발생시키지 않았다”며 “카제인이 재료에 확실히 달라붙도록 만드는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해 상용화에 이르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담배잎으로 치매를 고친다고?
과학동아
l
2014.03.13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발현을 조절해 신경세포 간 연결을 강화시킴으로써 신경성 퇴행을
억제
하는 메커니즘도 밝혀냈다. 김 교수는 “담배잎 하나에서 1000명을 치료할 수 있는 양의 오스모틴을 얻어낼 수 있다”며 “쥐에서의 치료효과가 매우 뛰어나게 나타난 만큼 알츠하이머처럼 사람이 앓는 ... ...
전기 빨아먹는 미생물 발견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11
전자를 세포 안팎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
해보니 로도슈도모나스가 전자를 흡수하는 양이 3분의 1로 줄었던 것. 기르기스 교수는 “미생물이 그동안 철분을 직접 이용했다기보다 철분 속 전자를 이용한 것이다”라며 “로도슈도모나스가 전자를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