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49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조차 흘리지 않는 늑대의 사냥법
과학동아
l
2021.03.03
연구원은 “늑대는 먹잇감을 쫓고 덮치는 전략으로만 사냥한다고 알려졌는데 이번에
최초
로 늑대의 매복 사냥법을 체계적으로 알아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행동생태학’ 2월 9일자에 실렸다. doi: 10.1093/beheco/araa14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29개 유전자가 알려져 있는 ETS 전사인사군을 유력한 후보로 거론하고 있다. 올해는
최초
의 생체시계 유전자인 Period(주기. 줄여서 Per라고 씀)를 발견한 논문이 실린지 50년 되는 해다. 1971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물학부의 시모어 벤저 교수와 대학원생 로널드 코놉카는 일주리듬을 잃은 돌연변이 ... ...
미사일 추적 광센서 기반 기술 ‘어쿠스틱 그래핀 플라즈몬’
최초
관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레이저(빛)를 쪼여 그래핀과 금 사이에 어쿠스틱 그래핀 플라즈몬이 생성되는 개념도.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미사일 추적용 광센서와 인체 측정용 적외선 센서에 사용되는 광전소자 성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장민석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은 한국과학기술연 ... ...
[102주년 3.1절]우주에서 본 만세운동의 현장 '아우내 장터'
동아사이언스
l
2021.03.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이번에 공개된 인공 위성 사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최초
로 자리 잡은 상해임시정부 유적부터 마지막 충칭 임시정부 유적 등 임시정부 유적 8곳 중 7곳이 담겨있다. 일제 탄압을 피해 중국 곳곳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독립 운동을 이어간 독립운동가들의 고충이 ... ...
[102주년 3.1절]독립운동 곁을 지킨 그 시대 과학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3.01
주장한 사람도 있습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의 동서인 김창세 박사입니다. 그는
최초
의 보건학 박사로 1913년 세브란스 의학교를 졸업한 후, 의료활동뿐 아니라 교육에도 집중했습니다. 1920년 2월, 임시정부의 대한적십자회 내에서 독립군을 치료하며 독립운동에 앞장설 간호원들을 가르쳤습니다. 1 ... ...
[102주년 3.1절]독립운동에 참여한 그 시절 과학계 인사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1
세브란스병원의 전신인 제중원에서 통역으로 일했다. 1908년 제중원을 졸업해 우리나라
최초
의 의사 중 한명이 됐다. 1907년 신민회에 가입해 독립 운동을 하기도 했다. 1911년 중국 간도로 가 한인 마을을 개척하고 병원을 운영하며 독립 운동을 이어갔다. 모든 수입을 독립군자금으로 썼다고 한다. ... ...
NASA본부 흑인여성 엔지니어 '메리 잭슨 본부'로 개명…영화 '히든피겨스' 두 번째 주인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28
주인공 중 남은 하나인 도로시 본의 이름이 새겨질지도 주목받고 있다. 도로시 본은 NASA
최초
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매니저로 유색 인종을 별도로 분리한 랭리연구소 내 계산부서 ‘웨스트 에어리어 컴퓨팅’ 그룹을 1949년부터 10년간 이끌었다. 1971년 NASA에서 은퇴했고 2008년 별세했다. NASA는 도로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1.02.25
암세포를 융합하는 ‘하이브리도마 기술’ 개발을 통해 단일클론항체의 대량 생산을
최초
로 성공했고, 이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다. 이후 분자생물학의 급격한 발전을 거치면서 동물세포주인 CHO(Chinese Hamster Ovary)를 이용한 항체 대량생산 기술, 항체선별 기술, 항체개량 기술 등 다양한 항체 관련 ... ...
LG AI 연구원, 최고 권위 학회서 출범 후 첫 연구 성과 공개
연합뉴스
l
2021.02.25
교수팀은 데이터의 중요도를 측정하는 평가값인 새플리 지표(Shapley value)를 연속 학습에
최초
로 적용해 기존 방식 대비 최대 40%까지 학습 성능을 향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속학습 기술은 국제 학회인 CVPR이 지난해 처음 개최한 '연속학습 기술경연 대회'에서 다른 세계적인 기업이나 ... ...
한국, 차세대 태양광 페로브스카이트 공식 비공식 최고효율 기록 획득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빛을 흡수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밝은 빛을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세계
최초
로 증명했다”며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 외에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장원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박사)이 23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