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참가했어요.올해는 참가팀들이 더욱 다양한 아이디어를 뽐낼 수 있도록 로버 제작에 두 가지 조건이 추가됐어요. 하나는 직접 제작한 바퀴를 사용하는 것이었고, 또 하나는 로버에 기계식 팔을 달아 액체, 작은 자갈, 큰 암석, 토양 등 4가지 샘플을 수집하는 것이었죠.덕분에 이번 대회에서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비슷한 회색붉은뒷날개나방, 나뭇잎처럼 보이는 청솔귀뚜라미, 나뭇가지와 비슷한 가지나방 애벌레 등은 자신의 몸을 잘 숨겨 천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해요. 또한 표범은 얼룩덜룩한 무늬를 이용해 주변 환경에 감쪽같이 몸을 숨기고 먹잇감에 몰래 다가가 사냥 성공률을 높이지요.이렇게 동물이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딱따구리 종류도 많이 살고 있어요. 수목원의 길을 걷다 보면 딱따구리들이 썩은 나뭇가지를 쪼아 벌레를 잡아먹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답니다.그런가 하면 겨울에만 찾아오는 친구들도 있어요. 깊은 숲에서 사는 자그마한 새인 콩새와 되새는 겨울에 수목원으로 날아와 나무에 앉아 있거나 땅에 ... ...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오파비니아’, 몸이 납작한 판과 가시로 덮인 ‘위왁시아’, 위 아래 앞 뒤 구분이 가지 않아 환각을 불러일으키는 생물 ‘할루키게니아’ 등이 대표적이지요. 심지어 인류를 포함한 척추동물의 조상이라 할 수 있는 척삭동물 ‘피카이아’도 이 시기에 등장했답니다.1989년 고생물학자인 스티븐 ... ...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생김새 등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변화가 신종을 만들어냈다는 사실을 알았어. 난 환경이 특이하거나 다른 사람이 가기 힘든 곳부터 가 보기로 했어. 이제 본격적으로 신종 탐험에 나서 볼까?밀림에서 새 포유동물을 찾을 수 있다?열대우림은 신종을 포함한 신비한 동물이 가장 잘 ... ...
- [가상 인터뷰] 백악기에도 새는 노래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시대부터 다양한 노래를 불렀다는군. 나와 함께 공룡 시대에 노래했던 새를 만나러 가지 않을래? 앗! 혹시 네가 백악기에 울던 새? 네~, 제가 바로 약 70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에 노래했던 ‘베가비스 이아아이’랍니다. 저는 중세대 말인 약 6600만 년 전에 멸종한 조류로, 지금의 오리나 거위와 ... ...
- 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쓰는 인공위성, 우주인이 실수로 떨어뜨린 장비, 우주선에서 떨어져 나온 부품 등 여러 가지 물체들이 지구 주변을 끊임없이 돌고 있지요. 도대체 얼마나 많은 쓰레기들이 지구 주변에 있는 걸까요?케슬러는 알고 있었다!1978년, 미국항공우주국의 도널드 J. 케슬러는 인공위성들이 서로 충돌해 생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순환되면서 산소가 잘 공급된답니다.*밀도 :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 밀도가 여러 가지인 물질이 섞여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은 가라앉으려고 하고, 밀도가 작은 물질은 위로 뜨려고 한다.하지만 중력이 거의 없을 때는 따뜻해진 공기가 밀도만 낮아질 뿐 순환되지 않아요. 그래서 ...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부문 미션은 IT마을에 있는 통신기지를 세우고,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등 모두 일곱 가지예요. 친구들은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했답니다.작년에 이어서 2년째 참가하는 중급부문 친구들은 좀 더 어려운 미션을 수행해야 했어요. 인공지능 자동차를 이동시키고 식량난을 ...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실험장’이라고 부르고 있어요. 마치 앞으로 지구에 살아갈 생물을 찾는 것처럼 갖가지 생김새의 생물이 등장했다가 사라져갔기 때문이지요. 그 결과 지구의 환경에 가장 적응을 잘 하고 오랫동안 후손을 남길 수 있는 생물 집합만 살아남게 되었답니다.그렇다면 왜 이렇게 갑자기 진화가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