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아이디어로 떠올랐을 것이다.“DVI 기술을 자세히 설명하면 이래요. 디지털 정보라는 게
결국
0과 1의 배열이잖아요. 신호를 주고받으려면 0이나 1을 한 덩어리로 보고 하나하나 잘 잘라서 보내야 해요. 잘못 자르면 에러가 생기죠. 그래서 같은 0 덩어리를 이렇게도 자르고 저렇게도 잘라서 여러 번 ... ...
고성능-고효율 컴퓨팅을 향한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없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성능을 향상시키면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량이 증가한다.
결국
빠르게 발전해온 하드웨어 성능으로 인해 2000년대 후반이 되면서 컴퓨터시스템은 전세계 항공기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보다 더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생산하는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몰리고 있다. 따라서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산소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③번 숙신산을 추가로 일정량 넣었을 때
결국
③→④→⑤→⑥ 과정에서 필요한 산소가 소비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직선이 아니라 회로라면 문제가 달라지는데 그 이유는 ⑥번에서 다시 ①→②→③→…로 산화반응이 추가로 이어지기 ... ...
점과 선의 그림, 그래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것은 다리 길이나 땅의 넓이가 아니라 다리와 땅의 연결 상태라는 걸 깨달았던 것이다.
결국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는 점 4개와 선 7개가 있는 한붓그리기 문제가 되었다. 이와 같이 점과 선이 있는 그림을 그래프라고 한다. 오일러는 그래프이론이라는 수학의 새 분야의 선구자가 되었다.이후 ... ...
원 속에 파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그린 ‘원’의 반지름에는 오차가 있습니다. 컴퓨터로 그린 원도 완벽하지 않습니다.
결국
완벽한 원은 오직 우리들의 상상 속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지요. 그렇다면 완벽하지 않은 원을 우리는 왜 공부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그 이유에 대해 알아봐요.이유1 수학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306km 상공에서 분리돼야 했던 과학기술위성2호도 340km까지 올라간 뒤에야 분리됐다.
결국
과학기술위성2호는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지구로 추락했다.두 번째 시도는 지난 6월 10일에 이뤄졌다. 그러나 이륙한 지 137초 만에 고도 70km 지점에서 1단 로켓이 폭발해 추락했다. 해군이 제주도 남쪽 ... ...
더 비싸게 vs 더 싸게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빼빼로 : 50g에 200원 → 1g에 4원현재의 빼빼로 : 30g에 700원 → 1g에 23원(23원-4원)÷4원 = 4.75
결국
빼빼로는 1983년보다 가격이 4.75배가 올랐다. 할인의 왕도주중 서울에서 밀양까지 가는 KTX의 요금은 43000원이다. 비싼 요금의 부담을 덜기 위해 여러 가지 할인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30일전에 승차권 ...
나도형, 헝가리에서 스타 되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받을 수 있도록 툴라의 남자친구인 이안을 도와 준다. 이안의 마음을 안 툴라의 아버지는
결국
결혼을 승낙한다. 그리스에서 보람 있는 일을 한 허풍과 도형은 가벼운 발걸음으로 헝가리로 향한다.1. 스타 탄생의 길, 외르뵈시 경시대회부다페스트에서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세체니 온천에서 ... ...
인터월드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쓴다고 비꼬고 있으니 자이가 정말 말을 어렵게 하나보네요.Epilogue_조이와 동료들은
결국
헥스 제국의 침략 야욕을 꺽는 데 성공합니다. 하지만 전쟁이 아직 끝난 것은 아닙니다.기쁨도 잠시, 곧 또다른 곳에서 침략 소식이 들려오고 조이는동료들과 함께 또다시 모험을 떠납니다. 모든 우주에 평화가 ... ...
서로 닮은 수학과 법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수 없어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법체계에 적용해도 문제가 없음이 증명됐어요.
결국
법체계도 수체계처럼 완벽하지 않다는 점이 밝혀진 거예요. 법에도 수학에서처럼 단 하나로 결론을 내릴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이죠.예를 들어 볼게요. 미국헌법 제2조에는 대통령의 나이는 35세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