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기본
짜임새
밑바탕
근본
본성
배경
d라이브러리
"
바탕
"(으)로 총 3,30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집 홈페이지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때문에 사용하는 인터넷서비스 회사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1.
바탕
화면의 내 컴퓨터를 두번 눌러 제어판을 연다. 제어판의 네트워크 아이콘을 선택한다. 네트워크 구성에서 추가를 선택해서 프로토콜→Microsoft→TCP/IP를 선택한 후 확인을 누른다. 이때 반드시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경험주의와 대륙의 합리주의 모두 "객관적인 진리를 발견하는 길은 유일하다" 는 점을
바탕
으로 형성됐기 때문이다.이 논리에 따르면 뉴턴과 라이프니츠 중 한사람만이 진짜 발견자다. 즉 다른 한사람은 반드시 가짜일 수밖에 없다. 철학이 우선권 논쟁을 필요 이상으로 과열시킨 것이다 ... ...
2. 서울 15년 내 규모 6.5 지진 가능성 57%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축적되는 시간을 측정해야 한다.서울 지역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과 최근의 관측 자료를
바탕
으로 몇가지 통계 처리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조사한 결과, 1995년을 기준으로 15년 뒤인 2010년에 규모 6.0-6.5 정도의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57%였다. 즉 서울 지역이 다른 두 지역에 비해 큰 지진이 ... ...
행글라이딩, 패러글라이딩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NACA 연구원이었던 로갈로의 '공기팽창식 삼각날개(flexible delta wing)에 관한 이론' 을
바탕
으로 등장했다. 연에 공학적인 개념을 도입해 낮은 속도의 비행 상황에서도 적응할 수 있도록 고안된 그의 연구는 원래 아폴로 우주선 캡슐 회수 방법을 연구하면서 내놓은 것이었다.그러나 이 이론은 애초의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이상근결국 자연은 그대로 두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꼈씁니다. 이런 경험을
바탕
으로 학교에서 '환경소년단'을 만들어 운영할 계획입니다.배명근저는 동아리 활동에서 '조류 탐사반'을 만들 생각입니다. 새에 대해 학생들에게 말할 '맥'을 찾았거든요. 여행을 좋아해 유럽을 많이 다녔지만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찬 공기가 다른 통로로 들어와 환기와 함께 실내 온도가 유지된다.철저한 분업제도를
바탕
으로 어셈블리 라인과 같은 농장을 경영함은 물론 도시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제반 시설까지 건설하고, 이를 조직적으로 운영하는 잎꾼개미들의 사회는 인간 문명에 버금가는 기가 막힌 진화의 산물이다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많은 환경에서 자라난 쥐가 미로학습의 성적이 높다는 결과가 나와있다.이러한 결과를
바탕
으로 오늘날 많은 심리학자들은 다양한 인종들, 혹은 집단들 사이의 IQ는 유전적 기초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이것 또한 잘못된 것이다. 인종과 인구집단은 오랫동안의 문화적 환경과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실험결과를 통해 과학의 오묘한 법칙과 질서를 규명하는,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
으로 학생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그래서 하루 24시간도 부족해 하는 연구 중독자들임을 깨닫게 해줬다.KAIST의 오늘은 KAIST식구들의 노력과 아픔의 결실이긴 하지만 무엇보다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적 지원과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재고 그 요인들을 찾아봐야 한다. 그리고 교사가 제시한 자료나 집에서 조사해온 자료를
바탕
으로 토의함으로써 문제의 본질을 해석하는 것도 공부에 포함돼 있다.그렇지만 공통과학은 중학교 때 이미 배운 지식만으로 구성돼 있어 탐구학습을 해온 학생들에게는 큰 부담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의 연구는 인간의 뇌에 생각을 언어로 가공하는 별개의 장치가 있다는 가설을
바탕
으로 한다. 이 가설은 심리언어학자들에게 널리 인정되고 있다.레벨트 박사는 "이 장치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는 아직 모르지만 그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실험으로 증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특정 임무를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