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디스’호킹은 논문에서 가장 먼저 정상상태 우주론의 문제를 지적했다. 그가 처음 쓴 논문을 정리한 것인데, 당시 학계의 거물이었던 호일의 이론을 논박한 화제작이었다. 정상상태 우주론은 우주에 끊임없이 에너지가 공급되면서 우주가 일정한 밀도를 유지하면서 공간적으로, 시간적으로 변화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래서 4종 모두를 손에 넣었죠. 이 일이 계기가 돼서 장난감을 모으기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미국 장난감을 사서 모았는데, 어느 순간 국산 장난감에 눈이 가더라고요. 그래서 지금은 국산 장난감과 만화책 수집에 열을 올리고 있답니다. 수치해석★문제가 너무 복잡해 정확한 답을 구할 수 없을 때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토끼가 좋아하는 먹이 토끼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야생으로 퍼지면서 우리나라 곳곳에서 서식하게 됐지요.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때 처음 들여온 것으로 기록돼 있답니다.한 번 야생으로 퍼지기 시작한 토끼풀은 강한 생명력 덕분에 우리나라 환경에 완벽하게 적응했어요. 토끼풀의 뿌리가 한 조각이라도 남아 있으면 다시 거기에서부터 ... ...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이 닿지 않았다. 혼다가 2000년 처음 공개했으니, 아시모 나이도 어느덧 열일곱이다. 처음에 120cm였던 키는 130cm로 자랐고, 몸무게는 54kg에서 48kg으로 줄었다. 최근에는 영어도 익혔다. 아시모는 휴머노이드의 대명사처럼 불린다. 10분쯤 이어진 공연에서 아시모는 게처럼 옆으로 걷고, 한 발로 뛰고, ... ...
- [과학뉴스] 인명구조견용 ‘첨단 슈트’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는 전용 슈트가 개발됐다. 활동 중인 구조견의 상태를 슈트로 시각화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노 카즈노리 일본 도호쿠대 미래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교수팀 등 공동연구팀은 구조견의 심전도와 활동량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해 구조견이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웨어러블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진으로 인한 건축물 손상 등 피해가 미미했다. 이번 지진으로 액상화 현상이 국내에서 처음 관측돼 우려를 낳고 있다. 액상화 현상은 지진으로 지반이 변형 되면서 유출된 지하수가 지반 곳곳에 스며들어가 땅이 물렁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땅이 물렁해지면 지반이 쉽게 가라앉을 수 있다. 선창국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얼굴 인식에 관여하는 영역은 발달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갓난아기는 처음에는 엄마와 아빠 얼굴을 구별하지 못하다가 계속 얼굴을 마주하며 시각적인 학습을 통해 엄마인지 아빠인지 구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성인이 된 뒤에도 새로운 사람을 계속 만나면서 뇌의 얼굴 인식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다르게 이 장치는 우리 집 앞마당에 떡하니 자리 잡고 주기적으로 사진을 찍어. 2012년에 처음 봤는데 그때는 장치가 무척 작았어. 카메라 한 대가 둥지 7개 정도밖에 못 찍는 거래. 게다가 한 시간마다 찍는 거라더니 기온이 너무 낮아서 기기가 고장을 일으켰다나? 그래서 불규칙적으로 촬영하는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갈 수 있는 섬인 무의도로 향할 터였다. 겨울철 어딘가로 숨어버린 개미를 찾기 위해 처음 연락했을 때, 동 씨는 무의도를 제안했다. 산이 아닌 섬이라니, 뜻밖이었다. 이유를 묻자 “섬에서 더 다양하고 많은 수의 개미를 볼 수 있다”는 답이 돌아왔다. 같은 종이라도 섬이 내륙보다 분포 밀도가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을 공부했다. 하지만 강의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학기 초에 교과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훑어보고 모든 지식을 흡수했기 때문에 수업을 들을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로텐디크의 뛰어난 재능을 눈여겨 본 교수들의 추천으로, 1948년에 파리로 가서 수학 공부를 시작했다. 19살에 파리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