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5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150주년, 지식의 흐름이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9
시대를 선도한 과학 지식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를 드러냈다. 각 점은 논문들로 점의
크기
는 인용된 논문의 수다. ※ 인터랙티브 뉴스 주소: https://www.nature.com/immersive/d41586-019-03165-4/index.html 논문 간의 연결고리를 보면 ‘지식의 흐름’이 한눈에 드러난다. 생물의학 연구는 다른 생체의학 ... ...
[인류와 질병] 우등생일수록 근시 많다는 이야기 사실일까
2019.11.09
억제가 안 되고, 도덕이나 윤리 등의 판단력을 잃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전두엽의
크기
가 증가하면서 눈을 위아래로 눌러 안축이 길어진 것일까? 입증할 방법이 없는 ‘그냥 그랬다는 이야기’식의 주장이지만, 뭔가 와닿는 면이 있다. 현대인은 근시를 앓고 있고, 아마 앞으로도 더 심해질 ... ...
양성자
크기
를 둘러싼 10여년 물리학 논쟁 종지부 찍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9
것이다. 원자핵을 도는 전자 중 일부는 원자핵의 양성자를 통과한다. 이 때 양성자의
크기
는 전자가 원자핵과 얼마나 강하게 결합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최신 분광법을 활용해 전자의 다양한 에너지 레벨을 정밀하게 측정, 양성자의 반경을 가늠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전자 빔을 수소원자에 ... ...
"식물 생존 책임지는 '수송체' 연구에서 환경과 식량 해결 실마리 찾았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식량 문제를 해결할 단초도 수송체에서 찾았다. 씨앗 내 지방 함량을 높이거나 곡물의
크기
를 1.4배 이상 키울 수 있는 유전자를 발견해 관련 기술을 글로벌 식품기업에 이전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2년 뒤 정년퇴임한다. 향후 계획을 묻는 질문에 그는 “생명과학은 하나를 밝히면 새로운 의문이 ... ...
언제 어디서나 초고화질 화면 보고 집에서 축구장 체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도 소개됐다. 테이블 전후좌우 어디에서 봐도 5인치
크기
에 선명한 색상을 가진 완전 입체 홀로그램을 볼 수 있는 기술이다. 초고해상도 홀로그램을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해 기록하고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리소그래피 기반 광시야각 초고해상도 홀로그램’ ... ...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신축성 전자시스템 권위자 홍용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고무와 같이 쉽게 늘어나는 신축성 기판 내부에 수~수십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
의 딱딱한 투명 아일랜드 구조를 인쇄공정을 이용해 삽입했다. 이 기판에 전자 시스템이 구현될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심한 기계적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전자 시스템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 ...
"2030년에는 지구에서 가져간 재료보다 달에서 조달하는 재료 더 많아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표면을 지켜줄 대기가 없어 수십억 년간 충격을 받아 30 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크기
의 작은 입자로 잘게 부서져 있다. 포잉 소장은 “이를 3D 프린터 재료로 쓰는 기술을 개발해 활용할 것”이라며 “입자를 3D 프린터 재료로 만들고 물을 추출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달의 재료를 활용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
2019.11.05
바뀌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자기터널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소자를 나노미터
크기
로 작게 만들어 나노자석을 구현했다. 자기터널접합 소자는 강자성체 두 층 사이에 부도체 층이 있는 샌드위치 구조다. 강자성체 한 층은 영구자석처럼 극성이 고정돼 있고 다른 층은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 ...
건기연, '달 표면 극한 환경' 세계 최초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월면토로 만든 소결체는 현재 콘크리트 강도의 3분의 2 수준"이라며 "지금은 원천기술로
크기
를 크게 만드는 것이 이후 과제"라고 말했다. 경기 철원의 현무암으로 만든 월면토(왼쪽)와 월면토로 만든 소결체의 모습이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달 착륙선과 탐사 로버가 속속 개발되면서 달 ... ...
시각장애인도 갸우뚱? 표준 없어 읽지 못하는 '제멋대로 점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교재를 개발하는 내용을 담은 ‘제1차 점자발전기본계획(2019~2023)’을 발표했다. 점자의
크기
와 간격 등을 표준화하는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의약품이나 화장품, 지하철 등에 적용할 규격 표준화 방안도 연구하기로 했다. 하지만 표준화 방안을 위한 연구계획만 2021년과 2022년에만 잡혀있을 뿐 표준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